
지상 라이다를 활용한 트렌치 단층 단면 3차원 영상 생성과 웹 기반대용량 점군 자료 가시화 플랫폼 활용 사례
Application of Terrestrial LiDAR for Reconstructing 3D Images of Fault Trench Sites and Web-based Visualization Platform for Large Point Clouds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자원환경지질
- 54권 2호
- : KCI등재
- 2021.04
- 177 - 186 (10 pages)
한반도 지진 재해 대비를 위해 지난 5년간 활성 단층 조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피복 활성단층 조사는 항공 LiDAR 기반 지형 분석, 지표 지질 조사, 지구 물리 탐사 결과를 종합하여 피복된 단층면에 대한 트렌치 조사를 수반한다. 하지만 이러한 트렌치 조사에 의해 발견된 단층면은 한시적으로 연구된 후 복구되기 때문에 트렌치 단층면 현장에 대한 정보는 논문 및 보고서 등과 같은 정성 자료로 남게 된다. 이와 같은 한시적 지질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지상 LiDAR를 활용하여 트렌치 단층면에 대한 3차원 점군 자료를 생성하고 디지털 공간상에서 트렌치 현장을 복원하였다. 지상 LiDAR 탐사는 양산단층 지역에서 수행된 두 곳의 트렌치 조사 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LiDAR 점군의 기본 속성값인 진폭과 반사도 이외에도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하여 트렌치 단층면의 색상 정보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평균 0.003 m의 정합 오차를 가지는 3차원점군 자료로 변환되어 트렌치 형상을 정교하게 복원하였다. 하지만 LiDAR 스캔 위치에 따라 점군의 진폭과 반사도 값이 변화되었으며, 햇빛 노출 정도에 따라서 트렌치 단면의 색상 정보가 다르게 형상화 되어 후처리 과정의 고도화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점군 자료는 대용량 파일로 존재하고 점군 자료 가시화 방법 또한 제한적이기 때문에 3차원 점군 자료에 대한 연구자 간 공유가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오픈소스 플랫폼인 Potree를 활용하여 트렌치 점군 자료를 웹 상에서 가시화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는 시간적 그리고 공간적 제약 조건이 따르는 지질 현장 조사에서 지상 LiDAR 자료가 주요지질 대상에 대한 재현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연구자 및 미래 후속 세대에 의해 손쉽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For disaster management and mitigation of earthquakes in Korea Peninsula, active fault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for the past 5 years. In particular, investigation of sediment-covered active faults integrates geomorphological analysis on airborne LiDAR data, surface geological survey, and geophysical exploration, and unearths subsurface active faults by trench survey. However, the fault traces revealed by trench surveys are only available for investigation during a limited time and restored to the previous condition. Thus, the geological data describing the fault trench sites remain as the qualitative data in terms of research articles and reports. To extend the limitations due to temporal nature of geological studies, we utilized a terrestrial LiDAR to produce 3D point clouds for the fault trench sites and restored them in a digital space. The terrestrial LiDAR scanning was conducted at two trench sites located near the Yangsan Fault and acquired amplitude and reflectance from the surveyed area as well as color information by combining photogrammetry with the LiDAR system. The scanned data were merged to form the 3D point clouds having the average geometric error of 0.003 m, which exhibited the sufficient accuracy to restore the details of the surveyed trench sites. However, we found more post-processing on the scanned data would be necessary because the amplitudes and reflectances of the point clouds varied depending on the scan positions and the colors of the trench surfaces were capt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ight exposures available at the time. Such point clouds are pretty large in size and visualized through a limited set of softwares, which limits data sharing among researchers. As an alternative, we suggested Potree, an open-source web-based platform, to visualize the point clouds of the trench sites. In this study, as a result, we identified that terrestrial LiDAR data can be practical to increase reproducibility of geological field studies and easily accessible by researchers and students in Earth Sciences.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및 토의
4. 결 론
사 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