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당대사와 콜레스테롤 대사의 조절 물질로 알려진 Pinitol이 운동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규명을 위해 시도되었다. 특히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피로회복의 관계를 규명하여 운동능력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32명으로 대학 체육과에 재학중인 남학생 24명, 체육과 진학을 목표로 준비중인 남자 재수생 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집단을 나누기 위하여 모든 피험자는 운동능력 검사를 위해 GXT가 실시되었으며, 최대산소섭취량과 신체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4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집단별 나이, 키, 몸무게, BMI, 평균혈압, 최대산소섭취량은 각각 Pinitol 집단(22.0±2.3 yrs, 176.1±4.0 cm, 71.6±9.4 kg, 23.0±2.2 kg/m2 , 92.0±7.5 mmHg, 52.4±8.6 ml/kg/min), Placebo 집단(23.8±2.5 yrs, 174.2±6.0 cm, 68.7±5.3 kg, 22.7±2.3 kg/m2, 91.3±7.6 mmHg, 52.0±4.8 ml/kg/min), Product 집단(22.5±2.1 yrs, 175.6±4.2 cm, 70.6±8.3 kg, 22.9±2.2 kg/m2, 90.5±15.0mmHg, 56.2±5.3 ml/kg/min), Control 집단(21.3±1.9 yrs, 177.0±4.7 cm, 70.5±6.2 kg, 22.5±1.6 kg/m2, 93.8±6.9 mmHg, 53.3±4.6 ml/kg/min)이었다.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피로회복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4개의 각 집단별 처치가 이루어졌다. Pinitol, Placebo 집단은 2주간 아침․저녁으로 하루에 2회씩 10cc 스푼으로 처치된 약물이 투여되었다. Product 집단은 2주간 아침․저녁으로 하루에 2회씩 20cc 스푼으로 처치된 약물이 투여되다. 그리고 Control 집단은 2주간 특별한 처치 없이 일상생활만을 하도록 유도되었다. 피험자의 운동능력 검사를 위해서는 윙게이트 검사와 혈액 성분 변화가 실시되었으며, 피로회복은 젖산을 통해 비교되었다. 각 집단별 측정 항목에 대한 검증을 위해 Two-way ANVOA with repeated measure이용하였으며, 통계적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체중 비례 피크파워, 총일량, 평균파워, 혈액성분 모두에 있어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피로회복과 관련된 변인 젖산, 피로지수에서도 모두 집단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initol은 직접적으로 무산소성 운동능력 향상과 피로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다른 운동 형태 즉, 유산소성 운동 형태나 약물의 복용량과 투여 기간의 조절에 따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피니톨(Pinitol) 소개
Pinitol 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개요, 목적 및 가설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