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988.jpg
학술저널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4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경로과정에서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중독의 매개효과를 입증하는 것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KYPS) 중학교 1학년 7차년도(2016년) 자료에서 대학교 1학년생 총 1,347명을 분석대상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주요한 분석방법으로 설정하였으며,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sobel test 방식을 적용하였다. 제시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직접경로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또래애과 휴대전화 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질을 상승시킬수 있는 사회복지학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s aim was to prov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er attachment and the mobile phone addiction in the path that the parental intrusiveness had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an university student. To do so, A total of 1,347 cases becoming a freshman in university from the Korean Child-Youth Pannel(KYPS) 7th data were chosen as an analysis object. In addition, this study appl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f AMOS 18.0 as main analysis method.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proposed method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proved the direct path that the parental intrusiveness predicted the quality of life of an university student. Secondary,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er attachment and the mobile phone addiction. This study suggested a welfare implication about the quality of life of an university student and proposals for follow-up study through presented analysis resul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