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981.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학의 시선에서 본 새마을운동의 재현과 세계화

The South Korean New Village Movement: Representation and Globalization

DOI : 10.17788/dbhc.2020..193.011
  • 184

이 글은 소위 ‘박정희 신드롬’과 함께 새마을운동을 재현하고 기념하는 서사 방식을 역사학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1997년의 ‘박정희 신드롬’에서 새마을운동은 “박정희의 새마을운동”이라는 소유격으로 표현되는 개인 서사로 기념되었다. 새마을운동은 특정 정치 지도자의 성공적인 농정책이자 근대화전략으로 기념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역사학은 박정희 이전부터 있어왔던 농민들 스스로의 농촌운동과 일상적 경험을 포착하고 들려주는 방식을 통해서 새마을운동의 소유권을 농민들에게 돌려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이 성장주의적 추억과 욕망 자체를 근본적으로 비판한 것은 아니었다. 이 글은 정부 혹은 농민이라는 단선적인 경쟁 관계의 주인공뿐만 아니라 산업자본과 같은 제3의 주체까지도 서사의 장에 등장시키는 역사화 과정을 통해, 새마을운동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농촌의 변화와 건설은 1960-70년대 산업자본의 내수시장 개척과 확장을 위한 전략적 요청이기도 했다. 이 글은 또한 새마을운동의 역사적 맥락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산업자본의 자기 확대 의지와 욕망이 오늘날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혹은 ‘해외 새마을운동’이라는 형태 속에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2010년대 이후 펼쳐진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해외 새마을운동, 혹은 새마을운동 공적개발원조(ODA)사업 등은 성장주의적 자본 확장의 의도와 전략을 그대로 노출했다. 예를 들면, KT는 르완다에서의 새마을운동을 발판으로 당시 포화상태의 국내 통신시장을 넘어 “블루오션” 아프리카 대륙 전역으로 영업망을 확장시키는 포부를 공공연히 드러내고 있었다.

Throughout the 2010s, the Global New Village Movement stood as a manifestation of South Korea’s desire for national aggrandizement in the neoliberal world market. Not only has the government of Korea announced its intent to develop the Movement into a part of the “national brand,” it has suggested the Movement as an “international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model” for the UN’s development program. The use of such market-driven jargon as brand, model, and development provides enough of a hint about the intention and direction of the Global New Village Movement. The intrinsic nature of the Movement was on display through the entry of Korea Telecom (KT) Corporation’s capital into the Rwandan telecommunication market in 2013. Confronted by cut-throat competition in a zero-sum domestic market, Korean telecommunication providers have long sought ways to enter overseas markets. Africa in particular has drawn their interest, as one of the last potential sites not completely occupied by global capital. In 2013, KT found itself in more advantageous position. Paul Kagame, Rwanda’s President, openly expressed his respect for Park Chung Hee and throughout Rwanda, numerous towns conducted the New Village Movement under the ODA program of South Korean government. The case of KT in Rwanda seemed to instruct how the New Village Movement could function as a national brand in the global ‘development market’ for the profit of domestic industry. The company’s business vision stated that, “Rwanda will become our bridgehead for entering the African market, a blue ocean,” or “We plan to establish our base in Rwanda and expand our business to the whole region of the continent.” To spread the New Village Movement ultimately meant to expand their market. The case KT in Rwanda enunciates the centrality of capital and the market in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New Village Movement. The parallels between the two New Village Movements of 2010s Rwanda and 1970s Korea are highlighted here to focus on the common features of the capitalist markets that surrounded both programs.

1. 서론

2. 새마을운동의 재현

3.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