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심리 민감도가 주가수익률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Investor Sentiment Sensitivity and Stock Return Volatility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3 No.3
-
2021.061097 - 1108 (12 pages)
-
DOI : 10.37727/jkdas.2021.23.3.1097
- 이용수 211

초록
최근 주식시장 동향을 보면 개인투자자의 성격과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고, 변화된 성격이나 역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도 생각되는 현상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투자자 거래에 대해 고찰해 보기 위해 최근 주가 수익률의 투자자 심리 민감도와 주가 수익률 변동성 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고 검정한다. (1)투자자 심리 민감도가 큰 종목은 주가수익률 총변동성과 고유변동성이 크고, (2) 이러한 양자의 관계는 개인투자자 거래비중이 커질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며, (3) 정보 비대칭성이 큰 종목일수록 그 관계는 강하게 나타난다. 2000년부터 2019년 기간 중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하여 본 결과 가설 설정 시에 예상한 것과 일치하는 실증 분석 결과를 얻었다. 즉, 투자자 심리민감도가 큰 기업일수록 주가 총변동성과 고유변동성이 크고, 이 효과는 개인투자자 거래와 정보비대칭이 커질수록 강해졌다. 투자심리 민감도가 주가수익률 변동성을 크게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과 더불어 개인투자자의 비정보거래자로서의 역할이 이러한 관계를 일으킬 수 있다는 생각을 지지할 수 있는 결과로 생각하고, 앞으로 투자심리와 주가 변동성, 그리고 개인투자자와 관련한 연구가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stor sentiment sensitivity of stock return and stock return volatility. Based on prior researches, it is hypothesized that a firm with a high level of investor sentiment sensitivity will have a high level of stock return volatility and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that the effects of sentiment on volatility will be stronger when the stock market information asymmetry is severe or individual trading level is higher. Using the stock market data for firms listed on the KRX from 2000 to 2019, this research examines the empirical predictions regarding the effects of sentiment sensitivity on stock return volatility: (1) whether sentiment sensitivity increases stock return volatility, especially idiosyncratic volatility; (2) whether this relation is more distinct in sample firms with more severe information asymmetry and high level of individual traders. I find empirical results that support all the predictions. The results show that sentiment sensitivity is positively related to stock return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not related to systematic risks. Further, this research finds that there exists a more distinct relation in the samples with more severe information asymmetry or more individual trading.
목차
1. 서론
2. 연구 가설
3. 연구방법과 표본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36)
- 자동차전용도로 유지 및 해제에 대한 이용자 의사결정 영향연구
- 투자심리 민감도가 주가수익률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들의 국적별 한식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단문의 주제 분석을 위한 LDA와 BTM 토픽모형 평가
- 웹기반 온라인 주의 연구
- 연속시간에서의 모호성 회피성향을 감안한 환위험프리미엄과 마팅게일 희귀분석
- 주택연금 이용자들의 추천의향의 영향 요인 연구
- 은행의 대출건전성에 미치는 거시경제변수의 영향력 연구
- 저출산이 지역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요인이 대졸청년층의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QUAIDS 모형을 이용한 휘발유와 경유의 탄력성 추정
- 장기거주자의 출산율과 출산장려금
- 개별통화별 환율변화율을 이용한 외화부채와 기업투자와의 관계
- 한국의 40세 이상 남녀의 소득, 결혼, Body Mass Index, 건강행태요인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
- 회복마취간호사의 자율성과 역할갈등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정보 성분의 구간 추정량에 의한 연관규칙의 생성에 관한
-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시 공동주택의 과세평가율 영향요인 분석
- 다문화 청소년 지지유형 분류 및 인지·정서발달 차이 분석
- 사망원인통계 기반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의 손상사망 특성
- A Research on Corporate Reputation, Governance Structures, Risk Taking Behavior, and Performance
- 가계 소비지출구조의 패널 분석
-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의사소통능력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opulation Aging on Housing Price
- 공유가치창출(CSV)이 사회적성과와 협력기업성과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이 노년층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만성질환 보유 여부에 따른 차이
- 아마추어 골퍼의 홀별 성적을 이용한 라운드 스코어 예측
- 농산물 도매시장 등급별 기준 가격 제시에 관한 연구
- 여가 라이프스타일을 이용한 중국 대학생의 시장세분화 연구
- Determinants of Dividend Payout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Dividend Predictors in KOSPI and KOSDAQ Firms
- 함수형 자료 기법을 활용한 과채류의 시장요인과 환경요인의 연관성 분석
- 지상파, 종편 뉴스 및 보수우파 유튜브 댓글 분석
- COVID-19 Vaccine Acceptance in the US and UK in the Early Phase of the Pandemic: AI-Generated Vaccines Hesitancy for Minors, and the Role of Governments
-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Water Evaluation at the Baekyeok Stream in Korea
- 어휘력과 작업기억이 청년과 노인의 문장 읽기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성격특질의 신경과학적 계량화 가능성
- 기하 브라운 모형을 따르는 KOSPI 주식들을 대상으로 손절매를 고려한 최적 페어 트레이딩 적용 및 성과
추천 논문
-
북한의 법체계와 북한법의 이해 방법선택없음유욱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북한법연구 제13호 2011.02
-
최근 북한입법의 변화 분석KCI등재류지성(Jisung Ryu)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북한법연구 제28호 2022.12
-
김종일 북한연구소 북한 북한 2002년 10월호(통권 제370호) 2002.10
-
최근 북한입법의 변화 분석미등재류지성 통일과북한법학회 북한법연구 0(28) 2022.12
-
유승철, 안경모 국제지역연구센터 국제지역연구 27(4) 20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