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072.jpg
학술저널

겨자씨와 누룩의 비유를 통해 바라본 Q의 하나님 나라

The Kingdom of God in Q–Focusing on the Parables of Mustard Seed and Yeast

  • 63

겨자씨 비유와 누룩 비유는 오랫동안 ‘성장의 비유’들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이해는 자연스럽게 하나님 나라의 미래적 차원을 기대하게 하며, 때로 부지중에 현재의 빈약성을 회피하는 대안적 태도로 발전한다. 물론 두 비유는 실제로 성장에 대해서 말하고 있으며 하나님 나라의 미래성을 결코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수께서 겨자씨 비유와 누룩의 비유를 말씀하셨을 때, 그가 단순히 자연 또는 자연의 변화 또는 자연적인 성장과정만을 말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예수는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성격을 규정하는 하나님의 통치방식을 묘사는 것이다. 두 비유는 미래적 종말론을 전망하되 그 강조점은 현재, 그리고 매일의 일상 속에 맞추어져 있다. 이것이 두 비유를 통해서 바라볼 수 있는 Q의 하나님 나라 모습이다.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의 겨자씨 비유는 ‘가장 작은’ 씨와 ‘가장 큰’ 나무라는 수사적 표현을 통해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그러나 Q에는 이러한 수식어가 없다. 단순히 겨자씨에서 나무로의 변화를 묘사하고 있다. Q는 성장에 관심을 두기보다 심겨진 씨 자체에서 이미 하나님 나라의 실재를 보고 있다. 또한 겨자씨와 누룩은 유대 사회에서 대체로 부정적으로 여겨지던 대상이다. Q가 이러한 대상들을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유의 소재로 과감하게 사용한 것은 Q 공동체가 하나님 나라를 일상 생활상 안에서 찾으려 했으며, 또한 기존 유대인들의 정결개념과 신앙관에 있어서 파격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두 비유에서의 행동의 주체는 각각 남자(ἄνθρωπος)와 여자(γυνή)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서술은 Q 11:31-32에서 니느웨 사람들(남자)과 남방 여왕의 등장과 동일한 관점으로 남자와 여자 사이의 균형 또는 평등성을 지향하는 Q 공동체의 신학을 보여준다. Q는 겨자씨가 자라서 ‘나무’(δένδρον)가 되었지만, 마가의 경우는 ‘풀’(λαχάνων)이 되었다. 겨자는 일년생 식물로서 ‘나무’라는 표현은 풍유적인 묘사로 볼 수 있다. 마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풀’보다 커져서 ‘나무’가 되었다는 절충적인 편집 작업의 흔적을 보인다. Q는 여러 유대 전승에서 언급되는 나무 가지 안에 새들이 깃든 종말론적 표상을 반향하고 있다. 그러나 Q 자료 속에서 사용되는 ‘나무’라는 용례가 모두 인간의 행위와 그 결과들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Q 공동체는 백향목의 비유에 있는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를 바라보면서도 그 하나님 나라는 현재적이고 일상적인 실체 속에서 이미 실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두 비유의 공통점으로 숨겨짐에 대한 형상은 하나님 나라를 종말론적 미래로 한정시킨 것이 아니라 현재 정원에 ‘심겨진’(ἔβαλεν), 밀가루 세 덩이 안에 ‘감추어진’(ἐνέκρυψεν) 무언가로 기술하고 있는 것이며, 남자와 여자의 어떤 행위를 통해서 이미 현재 속에 시작되고 있는 하나님의 통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큰 나무의 가지에 새가 깃들이고, 누룩이 들어간 반죽이 부풀어가는 표상은 하나님 나라의 선교적 측면과 동시에 종말적인 안식을 시사한다. Q는 안식과 선교의 주제를 하나님의 나라와 연관시킴으로써 그 나라는 에덴동산의 성격을 내포하는 종말론적 장소이며 그것은 현저하게 ‘겨자씨’와 같은 믿음을 가진 공동체 구성원들의 현재적 활동과 생활 속에서 바라보고 있다.

The parables of mustard seed and yeast have long been understood as ‘the parables of growth.’ Such an understanding naturally makes us anticipate the futuristic dimens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sometimes may develop into an alternative attitude of avoiding the present meagerness unknowingly. Two parables, of course, are telling about growth in fact. Both never exclude the futurity of the Kingdom of God. When Jesus said about mustard seed and yeast, he did not simply mean nature, change of nature, or natural growth process. Rather, Jesus illustrated God’s governing style, which defines the apocalyptic nature of the Kingdom of God. Two parables forecast futuristic apocalypse, but the focus is on the present, and everyday routines. This illustrates the Kingdom of God in Q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two parables. The parable of the mustard seed in the Gospel of Mark and the Gospel of Matthew focuses on ‘growth’ through rhetorical figures such as ‘tiniest’ seed and ‘biggest’ tree. However, Q does not have such expressions. It simply illustrates change from a mustard seed to a tree. Q sees the presence of the Kingdom of God from the seed planted itself rather than focusing on growth. In addition, mustard seed and yeast are generally recognized as negative in the Jewish community. That such things are used daringly as materials for the parable of the Kingdom of God in Q suggests that the Q community tried to find the Kingdom of God in everyday routines and that this is a drastic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chastity concept and view of faith in Jews. At the same time, in the two parables, the subjects of act are both male (ἄνθρωπος) and female (γυνή). This description has the same point as Nineveh people (male) and the Queen of the South in Q 11:31-32, which suggests the theology of the Q community aiming at balance or equality between male and female. In Q, mustard seed grows and becomes a ‘tree’ (δένδρον), whereas in the Gospel of Mark, it grows and becomes ‘herbs’ (λαχάνων). Mustard seed is an annual plant and so the word ‘tree’ is allegorical. In the Gospel of Matthew, to complement this, it takes an eclectic approach that mustard seed grows higher than ‘herbs’ and becomes a ‘tree.’ Q echoes the apocalyptic representation that the birds make nests in its branches, as expressed in a variety of Jewish traditions. However, it emphasizes that the Kingdom of God is already present in manifested and mundane entities, although the Q community aims at the Kingdom of God that is apocalyptic like in the parable of cedar, in that the usage of ‘tree’ in the source of Q is all closely related to human behaviors and results. The shape hidden, as common feature in the two parables, does not limit the Kingdom of God into apocalyptic future but describes something ‘planted’(ἔβαλεν) in a garden or ‘hidden’(ἐνέκρυψεν) in three loaves of bread and reveals God’s rule that begins already in the present through acts between male and female.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 “the birds make nests in the branches of big trees and only a little yeast in three measures of flour permeates the every part of dough” suggests mission work for propagat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apocalyptic sabbath simultaneously. Q associates such subjects as sabbath and mission work with the Kingdom of God and thus suggests that the Kingdom of God is an apocalyptic place implying a paradise like the Garden of Eden. Q sees the Kingdom of God in the manifested activities and lives among the community members who have the same faith as shown in ‘mustard seed’ preeminently.

I. 서론

II. 겨자씨와 누룩의 비유

III.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