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091.jpg
KCI등재 학술저널

목관 부속금구를 통한 백제 송산리 고분군의 위계성 분석

A Study on the Hierarchy of Songsanri Royal Cemetery of Backje Based on Metal Fixtures and Fittings on Wooden Coffins

DOI : 10.34268/hskk.2021.49.30
  • 102

백제 횡혈식석실분에서는 피장자를 위한 부장품과 함께 시신을 안치하였던 목관과 관계된 관정, 관고리 등‘목관 부속금구’가 다량 출토되고 있다. 그동안 고분의 구조와 부장품에 관한 연구가 많은 성과를 이루고 있음에 비해, 목관에 대한 연구는 목재부분이 쉽게 부식되고 도굴로 인한 부속금구의 위치 교란 등으로 인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백제 웅진기 왕릉을 포함하고 있는 공주 송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의 발견 및 조사과정에서의 혼란으로 인해 출토품에 대한 현황을 상세히 알기 어려웠으나, 최근 재보고서가 발간되어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많은 자료들이 보고되었다. 그 중에는 900점이 넘는 木棺附屬金具가 새롭게 보고되었고, 이들 자료를 분석하여 백제 웅진기의 목관 형태와 장식방법을 분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송산리고분군의 목관은 금·은제 花形, 금·은·철제 方形, 금·은·철제 圓形, 은제 半球形(은장)으로 머리를 장식한 관정으로 결구·장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관 제작 시 장식 관정의 사용에 일정한 패턴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패턴은 피장자의 위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금장화형두관정 장식목관▶ 은장화형두관정 장식목관 ▶ 금장방형두관정 장식목관 ▶ 은장반구형관정 장식목관 ▶ 철제방형두관정 장식목관의 순으로 추정된다. 목관 장식의 위계를 무덤의 위계로 적용해보면 본다면 왕릉(무령왕릉)을 정점으로 하여 4단계의 위계가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고분 내에 2기의 목관이 안치되는 경우 각 고분은 위계가 차이가 있도록 목관을 사용하였음이 확인된다. 목관과 무덤의 위계가 남성-여성의 관계인지, 왕족-귀족의 신분등급에 따른 것인지는 좀 더 검토가 필요하지만, 이렇게 화려하게 장식된 관은 상장의례 과정에서 피장자의 높은 신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 excavations of the Baekje stone chamber tomb with the tunnel entrance yielded many wooden coffin fittings and fixtures including nails and rings as well as burial goods. Despite the accumulated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the tomb and burial goods,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of wooden coffins has not been well articulated. Knowledge on artefacts from the Songsanri royal cemetery containing the royal tombs of Baekje’s Ungjin period had been scarce, but re-investigations have provided more information about the site; over 900 pieces of wooden coffin fixtures and fittings have been uncovered. This research addresses the shapes and decorative patterns of the wooden coffin during the Baekje Ungjin period. The head shapes of the nail used in the coffins in the Songsanri royal cemetery include flower (in gold, and silver), square (in gold, silver, and iron), round (in gold, silver, and iron), and semicircular. The patterns of nail head represented the social status of the deceased. In terms of hierarchy,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they took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such as golden flower, silver flower, golden-silver square, silver semi-circular, and iron square. When two coffins were placed inside the same tomb, they were designed to show the hierarchical difference between them. Assuming that the hierarchy of tombs is represented by the wooden coffin decoration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other tombs be inferred. Among them, King Muryeong’s tomb is ranked the highest. Although it can be definitively stated that the wooden coffin decorations were representative of the hierarchy of the deceased, further examination is required on whether they were based on gender differences or social ranks, such as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It is thought that the lavishly decorated coffins symbolically highlighted the high social status of the deceased during the funerary processes.

Ⅰ. 머리말

Ⅱ. 웅진~사비기 백제고분 목관자료

Ⅲ. 송산리고분군 출토 관 부속금구

Ⅳ. 송산리고분군 목관의 위계 검토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