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088.jpg
KCI등재 학술저널

건설공사 공종별 사고위험도 분석을 통한 현장 안전점검 실시시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te Safety Inspection by Analysis of Accident Risk by Construction Types

DOI : 10.52902/kjsc.2021.11.17
  • 223

본 연구에서는 중대재해 발생사례를 분석하여 공사종류 및 공종별 위험도를 도출하여 중대재해발생 위험도가 높은 공종의 작업이 진행 중인 현장의 점검시기를 알아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최근 10년간(2010~2019) 중대재해사례 3,869건을 분석하여 중대재해자수 4,4945명을 산출하였으며 선행연구와 FGI를 실시하여 사고위험도 산출모델을 도출하고 공종별 사고위험도를 분석하기위해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사종류별로는 아파트, 공장, 근린생활시설, 도로, 업무시설 순으로 위험도가 높았으며 아파트의 경우 공종별로는 지상층 골조공사, 전기·기계설비공사, 도장공사, 지하층골조공사 및 미장공사 순으로 중대재해자수가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고위험도 평가를 바탕으로 현장 안전점검 실시시기를 위험도가 높은 공종 중심으로 개선하여 지도·점검시기를 효율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건설현장의 재해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major accidents and derive the risk level for each construction type of work and construction work process and to find out the timing of inspections at the sites where is work progress with high risk of major disast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3,869 cases of major accidents occurred in the last 10 years at the construction site were analyzed to calculate the number of serious accidents 4,495 people were calculated. An accident risk calculation model was derived, and the accident risk was analyzed. To do th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isk was high in order of apartment, factory,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road, and business facility. In the case of apartment by work process, ground floor frame construction, electrical/mechanical equipment construction, painting work, basement floor frame construction, and plastering work were in order.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