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089.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적 가뭄역량평가를 위한 복원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lience Analysis for Regional Drought Capacity Evaluation in South Korea

DOI : 10.9798/KOSHAM.2021.21.3.181
  • 48

점차 심화되는 기후변화로 인해 이전에는 겪어보지 못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재해에 대한 관리 차원에서의 복원력(resilience) 개념에 대한 연구와 실제적인 적용 사례가 제시되고 있다. 특히, 가뭄은 장기간 지속되고 복구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재해중 하나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복원력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재해에 있어서 지역적 특성(과거 가뭄경험 여부 등)을 반영한 복원력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가뭄 복원력 평가를 위한 정성적, 정량적 지표를 국외사례, 자료현황, 국내 적용가능성 등을 판단하여 18가지로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표를 정량적 자료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국내의 두 지역(충청남도, 충청북도)을 기준으로 지표별로 세부적인 가뭄 복원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에 의한 복원력 평가 결과, 지자체 별 가뭄대응역량을 다양한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으며, 지자체별로 가뭄 발생시 복원력 향상을 위한 요소를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국적인 평가가 향후 수행된다면, 가뭄재해와 관련하여 지역적으로 적합한 대응 및 복구관련 가이드라인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creasing climate change is causing complex and diverse natural disasters that have never been experienced before. Recently,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concept of resilience at the management level for these disasters have been presented. Drought is one of the disasters that lasts for a long time and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for recovery, and resilience evaluation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needed. In this study, we aim to present the applicability of the resilience concept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whether or not drought has been experienced in the past) in droughts. To this end, 18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drought resilience were proposed by judging overseas cases, data status, and domestic applicability. A methodology for calculating the proposed indicators through quantitative data analysis and surveys was presented, and detailed drought resilience evaluations were conducted based on two regions in Korea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Through the resilience evaluation using this methodology, the drought response capacity of each local government could be comprehensively evalua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each determined factors for improving drought resilience. If a nationwide evaluation is conducted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locally appropriate guidelines related to drought response and recovery can be established.

1. 서론

2. 가뭄 복원력 평가 방안

3. 적용 및 결과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