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089.jpg
KCI등재 학술저널

3D 스캐닝 기법을 적용한 소방현장의 공간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the Geospatial Data of the Firefighting Area by Applying the 3D Scanning Technology

DOI : 10.9798/KOSHAM.2021.21.3.73
  • 114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의 고도화로 인해 건축물은 고층화⋅심층화되고 기상 이변 등의 예측 불가능한 대형재난 발생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화재 등의 재난발생 시 화재현장의 사전정보 인지가 신속한 대응의 중요성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소방대응시스템은 재난발생 시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 사전 파악의 한계로 인해 초기대응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등의 재난현장에서 초기대응에 필요한 3D 공간데이터 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표본 건축물을 선정하여 현장 3D 스캐닝 및 데이터 후처리 과정을 통해 구축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3D 공간데이터의 활용방안으로 지능형 화재예측플랫폼 연계, 소방 도상훈련 등의 도입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소방현장에 실질적인 공간정보 구축으로 복잡화⋅대형화되는 실내공간에서의 국민의 안전보장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 acceleration of the economic growth encourages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and deep-underground buildings, which increase the possibility of the severe loss of life and property in the country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large-scale disaster, such as extreme weather. Therefore, recognizing the prior information of the fire scene in event of a fire disaster becomes an important issue for the prompt response; however, the current fire response system has a difficulty in the initial response because proactive collection of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on the building is limit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As a result, to present the plan for constructing the 3D geospatial data required for the initial response in a fire disaster scene, this study presented the construction case through 3D site scanning and data post-processing using a sample build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sure national safety in complex and large indoor spaces with substantial geospatial information of construction in the firefighting area by proposing both the linkage with the intelligent fire forecasting platform and the plan on introducing untact firefighting training as the plan of using the 3D geospatial data.

1. 서론

2. 소방현장 도면관리현황 및 문제점

3. 3D 스캐닝을 활용한 공간데이터 구축

4. 소방현장 3D 공간데이터 적용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