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수업 ‘초급중국어회화’에서의 PBL 적용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in ‘Elementary Chinese Conversation’ Class and the Result Analysis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0권 2호
- : KCI등재
- 2021.06
- 119 - 152 (34 pages)
본 연구는 PBL 수업 방식을 중국어 전공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중국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중국어 말하기와 그에 대한 평가를 시행 수 있는 수업을 만드는 데 그 학습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2020학년도 2학기에 1학년 중국어 전공과목으로 개설된 ‘초급중국어회화’ 교과목을 대상으로 12주차부터 16주차까지 총 5주간 PBL 방식을 수업에 적용하여 기존의 교수 중심 강의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강의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중국어회화’라는 교과목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중국어 말하기를 어떻게 진행해야 본 교과목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지 문제를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 UCC 촬영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기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 스스로 중국어회화를 할 기회를 제공하며 특히 주어진 문제를 개인적인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팀플을 활용한 협업 방식으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주도적인 팀 활동을 통해 학생 본인이 맡은 역할을 충실히 해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의사소통능력 향상, 문제 해결 능력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를 얻어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만족하는 PBL 적용 전공 수업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ive of applying the PBL teaching method to Chinese major classes to induce students interest in Chinese an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to create a conversation-like class that enables Chinese speaking and evaluation. Therefore, for a total of 5 weeks from week 12 to week 16 for the first-year Chinese major course, Elementary Chinese Conversation , which was open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PBL method was applied to the class. I wanted to switch to learning. In the subject of Chinese Conversation ,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use a lot of Chinese speaking, a question was raised on how to achieve a speech-centered class, an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it was decided to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UCC filming. Through this, students are given an opportunity to speak Chinese on their own, and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help improv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ollaboration through team members as well as personal problem solving for a given problem.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class as well as team activities to fulfill their role. In addi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PBL application major class was satisfied with the positive effects of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Ⅰ. 서 론
Ⅱ. 이론적 검토 및 선행 연구
Ⅲ. 수업 운영 방법
Ⅳ. 수업 성찰 및 분석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