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165.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심리학적 고찰

A Social Psychological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Culture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The Concepts of Collective Memory and Civic Competence

  • 120

사람들은 한 사회에서 생활하면서 위험 상황에 직면했을 때 누구나 불안한 심리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위험을 통해 나타나는 인간의 반복적인 심리상태는 그들 자아와 정체성을 스스로 기획하게 유도한다. 위험에 대한 불안은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 속에서 시작되며, 그 구체적 위험 상황에 대한 인지는 현재 상태에 대한 경험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과거 집합기억을 통해 공동체 내 타인과의 관계에서 함께 나타나는 습관적 인식 속에서 위험의 감정적 수용 과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회구성원들은 과거 전쟁, 산업화, 민주화 과정에 대한 집합기억의 세대 간 분절화 현상이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하여 위험에 대한 집합기억의 탈분절화 현상으로 전이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 다양한 바이러스의 확대, 경제 위기 등의 위험에 대한 동시대적 집합기억에 기반을 둔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인간 감정을 연구하는 것은 위험과 안전에 대한 연구의 근본적인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이제 안전에 대한 인간의 감정적 수용 과정은 안전문화에 대한 신뢰 속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안전문화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학기술의 건전한 활용을 위한 인간 사이의 신뢰 관계는 곧 한 사회의 시민역량에 의해 그 수준이 결정된다. 이처럼 인간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연구는 인간의 감정, 불안, 기억, 위험, 안전, 건강 등 인간의 실존적 문제와 함께 복합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People who live in a society experience an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when facing a dangerous situation. The repetitive psychological state of humans by risk induces them to form the self and identity. People s anxiety about danger comes from their awareness of physical and mental state, and the specific dangerous situation is not always recogniz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present state. The emotional acceptance of risk is more often made in the habitual recognition appearing in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community through collective memory in the past.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are currently facing that the generational fragmentation of collective memories of war,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processes is changed to the de-segmentation of collective memories of risk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s people are experiencing anxiety from the contemporary collective memory of risks such as the spread of various viruses and economic crises, studies on safety can begin with human emotions. Now, the emotional acceptance of safety should be studied with trust in safety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safety culture. The level of trust between humans to foster the sound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ends on the competence of a societ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safety culture needs to be combined with human existential issues such as human emotions, anxiety, memory, danger, safety, and health.

Ⅰ. 서 론

Ⅱ. 인간 정체성, 기억, 위험에 대한 인문학적 논의의 필요성

Ⅲ.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 시대의 안전과 집합기억: 분절화에서 탈분절화 현상으로

Ⅳ. 위험 대응체계로서의 과학기술 활용과 시민역량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