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일상의 우울과 불안을 다루기 위한 마음챙김 심리치유법에 대한 고찰
A Study of Mindfulness-based Psychotherapeutic Programs to Deal with Daily Depression and Anxiety during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and Anxiety
-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 마음공부
- 제2호
- 2021.04
- 5 - 36 (32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 19라는 국가 재난의 상황에서 전 국민의 불안과 우울로 인한 심리 정신적 고통을 경감하기 위한 대중적인 심리치료로서 보급과 활용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용이한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도를 가지고, 우울과 불안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마음챙김 심리치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작하였다. 마음챙김 명상은 우울과 불안을 다루는 데 있어서 이미 효과가 검증이 되었으며, 비대면으로도 교육이 가능하고 명상의 기술을 일단 습득을 하면 혼자서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급과 활용에 있어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울과 불안이 심한 내담자를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기존의 마음챙김 프로그램들의 사용에서 얻은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한편으로는 새롭게 드러나는 가설들을 활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히 우울과 불안의 심리기제와 마음챙김 명상의 핵심적 요소와 이에 따라 사용되는 기법을 우울과 불안의 심리기제와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마음챙김 명상의 훈련의 원리에서 얻을 수 있는 의식의 변화에 대한 이론과 기분장애를 겪는 동안 어떤 기법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어떤 핵심요소들이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았다. 이 연구는 아직 경험적 실증적 자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한 연구결과라고 주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나 향후의 실험과 후속 연구를 위해서 중요한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meditation will be effective in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as a popular psychotherapy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pain caused by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whole people in the context of a national disaster called Corona 19. The study started with intention to develop present mindfulness-based psychotherapy programs that can prevent and cope with depression and anxiety. Many researches has already proven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dealing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nd it is possible to educate mindful meditation skills non-face-to-face, and once one acquires the techniques of meditation, he/she can practice it alone, so it has an advantage in dissemination and us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from the use of existing mindfulness-based programs that can effectively heal clients with severe depression and anxiety, and on the one hand, utilizes newly revealed hypotheses, and on the other hand, reveals areas that need more research.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core elemen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 techniques used accordingly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and anxiety.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on which techniques can have an effect while experiencing mood disorders, I specifically explored which key elements should be us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cannot be asserted as the result of an empirical study yet, but I think it can be an important basic data for future experiments and subsequent studies.
1. 들어가는 말
2. 우울·불안의 심리적 기제
3. 마음챙김의 기본 구조 및 구성 요소
4. 우울·불안의 심리적 기제를 다루는 마음챙김의 치료적 기술
5.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