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적: 건성안 환자에서 두 종류의 실리콘 눈물점마개를 삽입한 후 건성안 임상 효과, 유지율과 합병증에 대해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SuperEagle Punctum Plug™ 또는 Parasol Punctum Plug™를 눈물점에 삽입한 73명(133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건성안 치료 효과를 기존의 건성안 지표와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눈물띠 높이로 알아보았고, 눈물점마개의 전체적인 유지율, 합병증을 조사하고, 첫 6개월 유지율, 합병증을 군 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52.52 ± 13.66세(13-82세)이고, A군은 79안, B군은 54안이었다. 눈물띠 높이가 눈물점마개의 탈락이나 제거 여부와 상관없이 6개월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각 피험자에서 시술 전과 6개월 후 눈물띠 높이 변화와 쉬르머Ⅰ검사 수치 변화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7). 합병증은 두 군 모두 눈물점마개 탈락이 가장 많았다. 유지율은 Parasol plug (44.4%)가 SuperEagle (24.1%)보다 높았으며(p=0.012), 두 군에서 중간 크기 눈물점마개의 유지율이 작은 크기 눈물점마개의 유지율보다 높았다(p=0.027). 나이가 많을수록 6개월 유지율이 낮았다(p=0.032). 결론: 눈물점마개의 종류나 합병증 여부에 상관없이 건조증 치료 효과가 있었으며, Parasol Plug의 유지율이 더 우수하였다.
Purpose: We analyzed the clinical efficacy, retention rates, and complications after inserting two types of silicone plugs in dry eye patient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73 patients (133 eyes) whose lacrimal puncta were occluded with the SuperEagle Punctum Plug™ (EagleVision, Denville, NJ, USA) or the Parasol Punctum Plug™ (Beaver-Visitec International, Inc. Waltham, MA, USA) were analyzed. Conventional indices for dry eye disease and tear meniscus height (TMH)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ere used to determine the clinical efficacy. The overall retention rates and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and those of each plug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 first 6 months after insertion. Results: The average age was 52.52 ± 13.66 years (13-82 years). Group A included 79 eyes and group B included 54 eyes. TMH tended to increase after 6 months regardless of plug loss or removal due to complications. Schirmer Ⅰ test value differences before and 6 months after plug inser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MH differences in study subjects (p = 0.007). Plug loss was the most frequent complication in both groups. The retention rate of the Parasol plug was higher than the SuperEagle plug (44.4% and 24.1% respectively) (p = 0.012) and the retention rate of medium-sized plugs was higher than small-sized plugs (p = 0.027). Also, the plug retention rate decreased with age at 6 months (p = 0.032). Conclusions: Punctal occlusion with a silicone punctal plug was effective, regardless of the plug type or complication. The retention rate of the Parasol plug was higher than the SuperEagle plug.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0)
- 황반원공과 망막앞막에서 25게이지 유리체수술과 관련된 의인성 망막열공
- 내시경적 안와감압술을 시행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술 후 발생한 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두 단계 수술적 치료로 교정된 큰 각의 내사시를 동반한 양안 제육뇌신경마비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각막의 형태학적 분석
- 성인에서 발생한 HLA-A*11:01 및 A*31:01형의 비전형 스티븐스존슨증후군
- 양안 후부 원추각막에서 양안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결과의 차이
- 후향적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눈꺼풀 및 결막종양의 임상양상과 병리학적 분류
- 망막전막제거술의 수술 어려움 예측
- 속발내사시수술 전후 대비감도의 변화 분석
- 건성안 환자에서 두 종류의 실리콘 눈물점마개의 효과, 유지, 합병증 분석
- 2형 당뇨병 환자에서 황반부 미세혈관과 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속얼기층 두께의 변화
- 전층각막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의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
-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수술 후 근거리 작업이 지연발현 속발내사시 발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 비감염성 포도막염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이식제의 치료 효과 분석
- 망막전막 환자에서 안저촬영검사를 이용한 망막검진의 효용성
- 안외상의 종류와 안와골절, 망막진탕 양상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백내장수술 중 발생한 데스메막박리에 대한 처치
- 만성 비활성 망막분지정맥폐쇄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소견 특징
- 거짓비늘녹내장에서 수정체안과 인공수정체안에 대한 섬유주절제술의 장기 성적 비교
- 결절경화증의 표적치료제(Everolimus) 투여 후 호전된 망막성상세포과오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