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공간혁신 사업을 위한 사용자 참여설계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User Participation Design for a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6, No. 2(통권 19권)
- 2021.06
- 315 - 324 (10 pages)
공간은 인간생활의 필수요소 중 하나로 인간의 감정뿐만 아니라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오늘날의 학교공간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성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미래교육을 위한 학교공간혁신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중심의 학교공간혁신 사례를 제안 및 분석하여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사용자 참여설계와 학교공간혁신 사업의 의의를 연구하고 사용자 참여설계 프로젝트에 대한 이용자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군산산북중학교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98명의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교공간혁신 TF팀에 참여한 구성원이 학교공간혁신 사업과 민주광장에 대해 높은 관여도를 나타냈다. 둘째, 민주광장의 공간구성요소는 높게 평가되었다. 셋째, 학교공간혁신 사업과 민주광장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자 만족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사용자 참여설계가 효과적이며 향후 학교시설 환경개선에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이용자의 관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한다면 미래혁신교육에 필요한 학교공간혁신의 최종 목표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게 될 것이다.
A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human life, space has a great influence on not only human emotions but also actions. In this respect, with a widening perception of the social need for considering the impact of today s school space on students, a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for future education has been launched and implemented. This study was therefore aimed at presenting and analyzing a case of user-centered school space innovation in order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To this end, the significance of user participation design and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were studied, and user assessment results for the user participation design project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embers of Kunsan Sanbuk Middle School, and the collected data from 98 persons were verified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6 program. The followings are some findings from the analysis. First, the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school space innovation TF team showed a high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and the Minju Plaza project. Second,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Minju Plaza received high ratings from the survey respondents. Third, the group with a high involvement in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and the Minju Plaza project showed relatively higher user satisfaction scores than the group with a low involvement. This suggests that user participation design is effective and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y environmen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measures to improve the degree of user involvement will accelerate the fulfillment of the ultimate goal of school space innovation needed for future innovation educa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군산산북중학교 민주광장 프로젝트
4. 사용자 참여설계를 통한 민주광장 사후 이용자 평가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