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Effects of South Korea’s National Image on Revisit Intention among African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and Age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프리카인의 성별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우혁(Kim, Woohyuk) 이충희(Lee, Chunghee) 김성수(Kim, Sungsoo)
- 한국소비문화학회
- 소비문화연구
- 제24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6
- 75 - 90 (16 pages)
최근 아프리카 관광산업에 관한 관심과 더불어 관련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관련한 아프리카인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아프리카인들이 인식하는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재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아프리카인의 성별과 연령이 국가이미지와 재방문의도 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한아프리카 유학생 총 21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기법은 기술통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우리는 한국의 국가이미지 중 K-Culture와 K-Economy 요인이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아프리카인의 성별과 연령은 국가이미지와 재방문 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프리카인들을 대상으로 한 정부 및 업계 등의 관광목적지 마케팅 활동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Although the African tourism industry develops have increasingly, there is still little research in terms of Korea’s national image by Afric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 national image of Korea and revisit intention in light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Africans’ gender and ag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fricans who studying in Korea. A total of 215 usable survey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national image and revisit intention by Africans, especially K-Culture and K-Economy. Moreover, we found the moderating roles of Africans’ age and gender between national image and revisit intent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of Africans’ research, especially the market segmentation approach.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