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254.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울의 주관적 행복 수준 및 분포 변화의 추이 분석

rends in the level and distribution of subjective happiness in Seoul, 2005-2019

  • 65

본 연구는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를 이용하여 2005~2019년의 기간 동안 서울 시민의 주관적 행복 수준과 그 분포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소득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을 활용하여 행복 빈곤율과 행복 불평등의 추이에 대해서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반기에는 다른 부문에 비해 개인의 재정상태와 관련한 행복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분포적으로는 상대적으로 행복도가 낮은 집단에서 행복이 많이 증가하면서 시민의 전반적인 행복이 뚜렷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의 불평등과 빈곤은 큰 폭으로 하락하여 공리주의와 평등주의의 관점에서 모두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가 진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후반부에 들어서 행복의 빈곤율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지만, 행복한 집단의 행복이 더욱 상승하였을 뿐 하위 집단에서는 행복이 증가하지 않아 행복의 불평등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서울시의 행복 불평등이 심해지지 않도록 정책적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level and distribution of subjective happiness in Seoul has changed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19.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happiness in Seoul increased markedly. This is because the happiness of the financial sector increased and the happiness of the less unhappier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more happier. During this period, happiness inequality and happiness poverty fell sharply. As happiness increased and became more equal, it could be said that socially desirable results were achieved. However in the second half, the poverty rate of happiness remained at a very low level, but the happiness of the more happier increased further, but the happiness did not increase in the less unhappier.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n our study have implications for urban policies and can inform future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happiness inequality in Seoul.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분석방법

4. 서울의 주관적 행복 수준 및 분포 변화의 추이

5.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