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269.jpg
학술저널

[Forum] 선사시대 유목민의 예술문화와 신화적 상징성 고찰

Mythological symbolism in the Mongolian rock art

  • 119

이 발표문은 몽골 지역의 바위그림에 양식화되어 표현된 형상들을 중심으로 선사시대 유목민의 예술문화와 그 안에 상징적으로 투영된 신화적 세계관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주로 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에 제작된 바위그림 유적에 대한 연구는 인류미술의 초창기를 담당하던 당대인의 원초적 사유체계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한 양상을 살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미술과 신화의 상관성에 주목함으로써 원시신앙과 제의의 현장에서 신화와 함께 향유되었던 동북아 선사미술에 대한 인문학적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일찍이 북방유목민들은 영험한 마법의 돌(자드, 자딩촐로)에 대한 신화에서부터 돌무지(오보), 거북바위, 어머니바위(어머니산), 남근석 등 신성한 ‘바위’와 ‘돌’에 대한 신앙이 강렬하였다. 자연물인 암석에 대한 초기의 신앙은 인류의 신화적 상상력과 예술적 표현이 가미되면서 보다 심층적인 세계관을 담은 고차원의 문화유산으로써의 의의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몽골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바위그림과 사슴돌은 양식적인 문양 패턴을 통하여 음양론(陰陽論)과 삼계관(三界觀)을 근간으로 하는 동북아 문화권 혹은 알타이 문화권 예술문화의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세계관은 ‘돌의 영험함’에 위탁하는 선사시대 유목민의 원초적 염원들을 담아 향유되었으며 후대의 종교와 예술에까지 일관되게 전개되었다. 구석기시대 후반에까지 소급되는 바위그림과 청동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슴돌의 발견은 몽골지역이 초창기 인류 미술의 발생지로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몽골의 바위그림은 음양론이라는 신화적 세계관을 압축적으로 형상화한 초창기 예술 양식으로서 선사시대 유목민의 원초적 염원을 위해 신성시되는 영험한 예술 양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잗돌’과 같은 원시신앙이 토대가 되는 신성한 바위 위에 표현된 생식 관련 형상들은 생산(출산, 가축의 번식), 치병, 장수 등을 기원하는 인간생명의 메타포로 영웅신화가 내포하는 인본주의적 이념을 상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편, 바위그림 양식의 기본원리가 되는 음양론은 이후 삼단적 우주관으로 확대되어 사슴돌 양식으로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추후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사슴돌 역시 영험한 ‘돌’이라는 재료 위에 인간 생명을 수호하기 위하여 지상에 천강한 신화적 영웅의 형상을 주인공으로 표현함으로써 초창기 미술 양식과 영웅신화의 공생관계를 보다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바위그림과 사슴돌과 같은 선사시대 바위 예술은 신화적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형상들이 양식적으로 표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형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작품의 스토리텔링이 되어주는 배경신화와의 관련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서론

1. 원시신앙에서 ‘돌’이 가지는 마법적 기능 - 자딩촐로

2. 음양론의 원초적 메타포 - 바위그림

3. 결론을 대신하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