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칠도막 분석으로 살펴본 전기가야 칠기 제작기술

Research on early Gaya s lacquer ware manufacturing technique through analysis of Lacquer layers

  • 30

본고는 김해 대성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칠도막을 분석하여 조사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잔편으로 수습된칠기편이나 칠도막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SEM-EDX와 FT-IR분석하여 칠기에 사용된 재질을 동정하고칠도막의 구조를 분석하여 제작기법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김해 대성동 고분군에서는 나무에 직접 칠을 한 목심칠기(木心漆器)는 확인되지 않지만 목제 바탕에 직물을 바르고 바탕칠을 한 목심저피칠기(木心苧被漆器), 가죽에 칠한 칠피칠기(漆皮漆器), 철기 표면에 칠을 한 금태칠기(金胎漆器)가 확인되었다. 칠기 구성면에서는 무기·무구류로 추정되는 칠피칠기가 다수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이제까지 용기류 중심의목심칠기가 출토되던 삼국시대 저습지 유적의 칠기 출토양상과 차별된다. 흑색안료는 연매가, 적색안료로 진사(HgS)와 산화철(Fe2O3)이 사용되었는데 산화철이 단독으로 확인된 예는없다. 특히 칠초(漆鞘)로 추정되는 88호분 출토 칠편에서는 바탕칠에 골분이 검출되는데 이는 낙랑칠기에서도공통적으로 확인되는 한대칠기의 특징이다. 따라서 대성동 고분에서 출토된 칠도막 자료는 전기가야의 칠기 제작기술 뿐만 아니라 당시 금관가야의 대외교류 관례를 알려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This report summarize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lacquer layer found in Gimhae Daesungdong tombs. The pieces of the lacquer wares and the lacquer layers were analyz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SEM-EDX, and FT-IR to ind out the composi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lacquer layers. The study found lacquer wares in Gimhae Daesungdong tombs where the lacquer was applied after the application of textiles on the wood, on the leather, or the metal surface while the technique where the lacquer is applied directly on wood was not found. From the point Daesungdong tombs is unique to other three kingdoms era wetland sites in that a lot of cases where lacquer was applied on leather based weapons was found whereas lacquer applied directly on wooden containers were more common. Dark pigments were created with soot, and a combination of mercury sulfide and iron oxide was used for the red pigments. Although cases where iron oxide was coated on top of the cinnabar layer were found, there were no any cases where the iron oxide was solely used for the pigment. Especially, what is deemed to be sword sheath found in No.88 tombs showed signs of bone dust in the base layer of the lacquer wares which can also be found in Naklang and is a common trait found in Korean lacquer wares. The lacquer layer found in the Daesungdong tombs is not only proof of the early Gaya’s techniques used to create lacquer wares but also of the Gaya’s international trade relationships of the day.

Ⅰ. 머리말

Ⅱ. 대성동 고분군 출토 칠기

Ⅲ. 칠도막 분석

Ⅳ. 전기 가야의 칠기 제작기술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