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300.jpg
KCI등재 학술저널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주제분석

Thematic analysis of the counselor s peer supervision experience

  • 321

본 연구는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속 상담심리사 1급 자격을 지닌 상담자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주제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료 수퍼비전의 경험에 관한 6개의 핵심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확인되었다. 상담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을 통해 서로 다른 견해를 수용하고, 상담자의 어려움을 나누며, 다각적인 접근으로 문제를 바라볼 수 있었다. 상담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에서 ‘자기점검 및 성찰’, ‘편안하게 나누는 견해의 장’을 경험하고, 평가 부담에서 벗어나 사례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였다. 상담자들은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전문적 성장과 발달도 경험하였다. 반면에 상담자 견해 차이를 조율하거나 윤리적 문제 해결 등에서는 수퍼바이저가 없는 불안감을 보이며 어려움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지속적인 성장과 전문성 발달을 위한 동료 수퍼비전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unselor s perception of the peer supervision experience. To this e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5 counselors belonging to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Thematict analysis. The results were classified 6 topics and 19 subtopic topics on peer supervision experience. Through peer supervision, counselors were able to accept different views, share the difficulties of counselors, and look at the problem with a multifaceted approach. Counselors experienced self-inspection and reflection and a comfortable sharing of views . Counselors have also experienced professional growth and development, playing a role of supervisor and supervisee. On the other hand, counselors expressed anxiety without a supervisor when coordinating differences and solving ethic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peer supervision are dicuss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