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Obsessional Belief on Test Anxiety i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on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대학생의 강박신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Association of Korea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Welfare
- 상담심리교육복지
- Vol.8 No.3
-
2021.06161 - 175 (15 pages)
-
DOI : 10.20496/cpew.2021.8.3.161
- 549

본 연구의 목적은 강박신념과 시험불안의 관계를 경험회피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PROCESS macro 3.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강박신념은 시험불안, 경험회피와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강박신념, 시험불안, 경험회피는 학업성취도(상/중/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강박신념과 시험불안 간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학업성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상위집단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중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박신념 성향이 높은 대학생의 경험회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학업성취도에 따라 시험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한 맞춤형 접근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onal beliefs and test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online survey of 331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PROCESS macro 3.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bsessional belief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periential avoidance and test anxiety. Second, obsessional beliefs, test anxiety, experiential avoidanc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cademic performanc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onal beliefs and test anxiety was shown to vary depending on academic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the medium and lower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ttention is needed to the experiential avoidance of college students with high obsession, and that a customized approach is important to alleviate test anxiet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