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학습몰입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sistence in College Classes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상담심리교육복지
- 8권3호
-
2021.0677 - 89 (13 pages)
-
DOI : 10.20496/cpew.2021.8.3.77
- 421

수업에서 학습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교수자가 강의 중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살펴보고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는 논의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학습과정의 변인으로 학습몰입을, 학습성과의 변인으로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 대학교의 전공교과목을 수강하는 재학생 224명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교수자의 청각언어가 학습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수자의 신체언어, 청각언어 및 외양언어가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수업 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학습효과를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increasing discussion that instructors should recognize the rol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classes and use it appropriately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s in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by selecting learning flow as a variable of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learning persistence as a variable of learning outcome in order to examine how the instructor s non-verbal communication affects the learning effects. Data was collected from 224 students taking major courses at K Universi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s auditory langu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commitment. Second, the instructor s body language, auditory language, and appearance languag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Third, learning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nonverbal communication of instructors in class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