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유형별 도시공원 접근성이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cessibility to Urban Park by Type on Housing Price - Focused on mountainous urban park and flat urban parks -

  • 282
158303.jpg

도시에서 공원과 같은 오픈스페이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원 접근성은 주택의 가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원의 유형과 주택가격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공원을 산지형 공원과 평지형 공원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공원 접근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청주시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8년이다. 주택가격을 종속변수로 하는 헤도닉 모형을 연구방법으로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지형 공원 접근성과 평지형 공원 접근성은 모두 주택 가격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산지형 공원 접근성이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평지형 공원 접근성에 비해 크다. 셋째, 공원의 면적은 주택가격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The importance of open spaces such as parks in cities is increasing. Accordingly, it is well known that accessibility to parks has a positive effect on housing pric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park and the housing price.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urban parks into mountainous parks and flat parks, and analyzed the effect of park accessibility by type on housing price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Cheongju, and the temporal scope is 2018. A hedonic model with house price as a dependent variable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both accessibility to mountain parks and flat park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housing prices. Second, the effect of accessibility to mountainous parks on housing prices is greater than accessibility to flat parks. Third, the area of the park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housing pric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검토

Ⅲ. 분석의 틀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