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대전광역시 도시 브랜딩의 과정과 의미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2020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 2020.12
- 51 - 54 (4 pages)
우리나라는 1995년 이후 지방자치제를 시작으로 자신들의 지역 정체성을 발굴하고 이를 대내외로 공유하고 전파했다. 이것은 마케팅 개념과 지역 자산의 브랜드화를 통해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적 해결책으로 도시 브랜딩을 주목했다. 도시 브랜딩은 각 도시의 획일화 된 이미지를 벗어나 자기 도시를 차별화 하는 작업으로 복잡성과 다차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융합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대전이 첨단 과학도시로 브랜딩 되어가는 요인들과 산물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970년대 정부의 수도권 인구분산 정책의 일환으로 대덕연구단지 조성, 국립중앙과학관 이전, 대전 엑스포93 개최, 엑스포 과학공원 설립,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개최, 캐릭터와 슬로건 개발은 대전이 첨단 과학도시로의 브랜드 구축을 위한 도시 브랜딩 과정이다. 하지만 대전광역시청이 인식하고 있는 대전의 도시 브랜드 한계와 엑스포 과학공원과 한빛탑의 부실한 관리는 과학도시의 가치를 하락시키고 첨단 과학도시 브랜드 구축의 문제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전만의 강력하고 차별화된 도시 브랜드를 구축하고, 과학도시 이미지 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의 도시 이미지들과의 연계를 통해 통합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으로 도시 브랜딩을 진행해야 한다.
1. 머리말
2. 도시 브랜딩의 이론적 배경
3. 대전광역시의 도시 브랜딩 과정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