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디지털 패러다임과 문화콘텐츠 연구방법론

  • 308

현대사회를 지배하는 디지털 패러다임은 학문의 영역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분과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연구를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융합학문이라는 특성을 지닌 문화콘텐츠학의 정체성에 관한 질문을 제기한다. 또한 디지털 매체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문화콘텐츠의 생산·전달·향유 방식에 나타나는 새로운 양상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체에 담긴 문화적 내용물인 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정의를 구체화하여, 디지털 매체 기반의 문화콘텐츠를 다루는 연구방법론을 제안한다. 부연하면 디지털 생태계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설정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디지털 기술이미지’, 그리고 ‘탈경계적 디지털 개체’를 중심으로 논구할 것이다. 이처럼 동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문화콘텐츠학은, E. 모랭의 표현대로 ‘살아있는 현존의 학’으로서 자연 생태계와 디지털 생태계가 얽혀 있는 세계의 ‘모든 것’을 탐구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1. 서언: 매체가 학문을 통합하는가?

2. 디지털 패러다임과 문화콘텐츠(학)의 향방

3. 디지털 매체 기반의 문화콘텐츠 연구방법론

4. 결어: 부드러운 자아와 부드러운 세계를 향한 부드러운 학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