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의학전문직업성이 의학 교육과 임상적인 실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공적인 합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것이 현실이며 이와 더불어 여성 의사들의 역사적인 정체성과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것도 사실이다. 이 논문은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역사적인 논의를 통하여 근대 유럽과 미국의 남성 주도의 의학 영역에서 여성의 의사 되기와 여성들의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해 살펴보는 동시에 이것이 어떻게 한국이라는 상황 속에서 새롭게 구현되었는지를 밝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역사적인 이해, 의학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과 여성들의 의학전문직업성, 한국적인 상황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을 포함한다. 여성 의사들의 의학전문직업성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의학에 대한 전인적인 접근, 예방의학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 환자-의사의 평등한 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영미권의 여성 의학전문직업성에 더해서 한국 초기의 상황의 여성 의사들은 주체적인 의학 지식과 술기, 그리고 직접적인 소통을 통한 전인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하였다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It is evident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education and practice of medicine. However, it is also clear that the public consensus o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he identity of women doctors, which is related to the concept has not been fully made. Therefore, the research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how women have challenged to the male-dominated realm of medicine to gain their own medical professionalism.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clarify how that the medical professionalism in Euro-America influenced the process of making women doctors in Korea. This paper illustrates the concepts of and historical changes in medical professionalism, the role of women in medicine and their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American and Korean contexts. In addition to the holistic approaches to medical practices, emphasis on the preventive medicine, and eqaul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 and patient, it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mong early Korean female missionary physicians that they pursued healing of body and soul as a whole on the basis of their medical knowledge, techniques, and direct communication with patients.
1. 들어가는 말
2.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의 위기
3. 의학전문직업성의 역사적 변화
4. 의학에 도전한 여성들
5. 여성 의학전문직업성의 특징
6. 초기의 한국 여성 의학전문직업성
7.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