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349.jpg
KCI등재 학술저널

TBT협정하의 탄소라벨링에 관한 충돌가능성

A Review on Potential Conflicts of Carbon Labeling under the TBT Agreement

DOI : 10.15798/kaici.2021.23.2.159
  • 174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방안으로 각종 환경라벨링이 증가하면서 비관세장벽이 형성됨에 따라 환경라벨링의 지위와 WTO 규정 적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탄소라벨링과 관련 국제규범인 TBT 협정을 먼저 살펴보고, 환경라벨링과 관련된 WTO 분쟁사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불필요한 무역제한 조치 및 관련 국제표준을 중심으로 TBT협정의 쟁점을 검토하였다. 정당한 목적 및 국제표준과 국제표준 설정기구에 대한 해석상의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WTO 회원국의 자의적 해석을 방지하고, 향후 분쟁 발생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As a non-tariff barrier is being formed as various environmental labeling increases as a measure to reduce greenhouse ga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tatus of environmental labeling and the application of WTO regulatio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carbon labeling and TBT agreements as related international regulation. It also analyzed cases of WTO disputes involving environmental labeling.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of the TBT Agreement focusing on unnecessary trade restrictions and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s. It can prevent arbitrary interpretation of WTO member states by preparing standards for interpretation for legitimate purpose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international standards-setting organizations. The probability of future disputes should be reduced by improving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TBT Agreement.

Ⅰ. 서론

Ⅱ. TBT협정과 탄소라벨링

Ⅲ. 환경라벨링 관련 WTO 분쟁사례

Ⅳ. TBT협정 상의 쟁점조항 검토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