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10년(2010~2019) 기간 동안 HS 코드 6단위 기준 한국 건설기계의 주요 7개 수출품목을 대상으로 중국시장 및 미국시장에서의 국제경쟁력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UN Comtrade,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를 이용하여 특수시장점유율(MS), 무역특화지수(TSI), 수출입단가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에 대한 한국 건설기계 수출은 2010년 499억 달러에서 2019년 167억 달러로 감소하고, 중국시장 내 비중도 2010년 11.7%에서 2019년 6.5%로 떨어졌다. 반면 미국에 대한 한국 건설기계 수출은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2010년 349억 달러에서 2019년 1,374억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국시장 내 비중은 2010년 7.5%에서 2019년 6.4%로 다소 떨어졌다. 또한 굴착기의 국제경쟁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점차 높여가고 있다. 반면 나머지 건설기계 폼목들은 중국시장과 미국시장에서 국제 경쟁력을 점차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코로나19 백신 접종 등이 이루어지면서 경기부양 및 친환경 정책에 따른 인프라 투자 확대 등으로 향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범용성 있는 건설기계 품목의 수출 확대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품질우위와 가격경쟁우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굴착기는 중국 및 미국은 물론 신흥개도국에 대한 수출 마케팅 활동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게차는 미국에서 높은 시장점유율과 비교우위를 바탕으로 수출특화로 나타났지만, 중국에서의 시장점유율, 무역특화지수, 교역국 비교우위지수에서 모두 국제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도 등 다른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Chinese market and the U.S. market for seven major export items of Korean construction machinery based on HS code 6 units during the last 10 years (2010-2019). To this end, the United Nations Comtrade and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trade statistics were used to calculate and analyze the special market share (MS),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and import and export unit price ratio. According to the analysis, Korean construction machinery exports to China fell from $49.9 billion in 2010 to $16.7 billion in 2019, and the share of the Chinese market also fell from 11.7% in 2010 to 6.5% in 2019. On the other hand, Korean construction machinery exports to the U.S. increased steadily every year from $3.9 billion in 2010 to $137.4 billion in 2019. However percentage of U.S. markets has decreased slightly from 7.5% in 2010 to 6.4% in 2019. In addition, excavators have the highes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y are gradually increasing their share of the global market based on their excellent quality. The rest of the construction machinery industry, on the other hand, is los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Chinese and U.S. and U.S. markets.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fforts to expand exports of versatile construction machinery items, which are expected to increase demand in the future by boosting the economy and expanding infrastructure investment under eco-friendly policies. Second, excavators, which have been shown to have quality advantages and price competition advantages, need to further strengthen export marketing activities not only for China and the United States but also for emerging developing countries. Third, forklifts were found to be export-specific based on high market share and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U.S., but they were all found to be low i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China s market share,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trading partner comparative advantage index.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its entry into other foreign markets such as India.
Ⅰ. 서론
Ⅱ. 건설기계에 대한 일반적 고찰
Ⅲ. 한국 건설기계의 무역 현황
Ⅳ. 한국 건설기계의 국제경쟁력 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