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디지털 분산화 원장으로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정보 보안 및 거래의 가시성을 높이고 신뢰할 수 있는 중개자의 개입이 불필요하다는 점에서 거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무역 업무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 간의 서류 교환과 대금 결제를 수반하며 중개자를 통해 이루어지는 격지자간 거래이므로 현장 거래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중개 과정의 비효율성을 제거하여 무역 프로세스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개방형 블록체인 기술은 기업 간 거래에 활용하기에는 처리의 속도, 민감 정보의 보안 등의 문제로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는 기업 간 거래에서의 개방형 블록체인 플랫폼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블록체인 기술의 무역 분야 도입 시 필요한 요구사항으로 확장성, 거래 당사자 신원 확인, 거래 정보 보호, 거래 확정성, 플랫폼 생태계 유지와 거버넌스를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업 간 거래에 특화된 블록체인 플랫폼들을 비교하였으며 그 중 하나인 하이퍼레저 패브릭 플랫폼을 기반으로 화환신용장 처리 프로세스의 블록체인 기술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무역 프로세스 상의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lockchain has garnered much attention as an emerging technology platform due to its features such as impossible forgery, information security, transaction transparency, and unnecessary mediators. Trade process causes more time and cost than spot transactions because it is conducted through mediators, incorporating documents exchange and payments among various stakeholders. Therefore, blockchain technology is able to improve trade process by eliminating inefficiencies associated with mediation. However, public blockchain technology is not appropriate for business transactions because of low transaction per second and insecure sensitive information. This study analyzes limitations of public blockchain platforms and suggests five factors such as scalability, identity verification of transaction counterparts, transaction finality, private data protection, and platform ecosystem sustainability/governance. This study compares current business-oriented blockchain platforms and chooses Hyperledger Fabric platform, thereby suggesting a model of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to process documentary L/C.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a measure of introducing blockchain technology to trade proces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블록체인 기술의 무역 프로세스 도입
Ⅳ.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의 무역 프로세스 제안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