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359.jpg
학술대회자료

박물관 가이딩 서비스의 콘텐츠 재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30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은 시간이 감에 따라 중요시 되고 있고 교육을 넘어 자기계발, 휴식, 친목, 여가 등 복합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교육적 바람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방면의 전달체계가 만련되었으며, 이러한 가이딩 시스템은 판넬, 네임텍, 수신기, PDA, 키오스크,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다. 각각의 장단점에 따라 수정되기도하고 사용이 줄어들기도 하였으며 앱의 경우에는 개인 스마트 폰이 2009년이후 세계적으로 보급되면서 가이딩 시스템의 주요한 전달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 되었을 뿐 전달 내용과 방식에는 큰 변화가 없는게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적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박물관을 재방문하는 관람자의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개별 전시품을 설명하는 방법 외에 당대에 연구된 통합적인 사실과 지역의 특징까지 고려하여 사람과의 관계까지 가이딩에 포함하길 제안한다. 연결을 중심으로 한 진정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실현하려는 시도이다.

1. 머리말

2. 박물관 가이딩 서비스

3. 관람자의 이해도와 니즈에 기반한 박물관 가이드 방법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