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460.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등학생들의 교실 밖 온라인 영어 사용 및 테크놀로지 활용 영어학습에서의 자기조절 전략 사용

Exploring high school students’ online use of English use online use of English and self-regulated strategies use for English learning

DOI : 10.25093/ibas.2021.52.83
  • 126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들의 교실 밖 온라인 공간에서의 영어 사용 및 테크놀로지 기반 영어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조절 전략 사용 양상을 고찰하고 두 변인 간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고등학교 2학년 117명으로 이들은 교실 밖 온라인 영어 사용 설문지 및 테크놀로지 활용 영어학습에서의 자기조절 전략 사용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고등학생들의 교실 밖 온라인 영어 사용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활동 유형도 학습 지향 및 오락 지향 활동에 대한 참여가 사회적 관계 지향 활동에 대한 참여보다 높았다. 영어 능숙도가 높은 학습자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고 성별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테크놀로지 활용 영어학습에서의 자기조절 전략 사용도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목표 헌신, 상위 인지, 정서적, 사회적, 자원, 문화적) 중 목표 헌신 전략이 가장 높은 사용을 보였고, 사회적 전략이 가장 낮은 사용을 보였다. 여학생의 전략 사용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영어 능숙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전략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및 단계적 중회귀분석 결과, 고등학생들의 온라인 영어 사용과 테크놀로지 활용 영어학습에서의 자기조절 전략 사용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울러 학습 지향 영어 사용이 테크놀로지 활용 자기조절 전략 사용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 및 교육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line use of English and their self-regulatory strategies use for English learning with technology. It further examines whether students’ online use of English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self-regulated technology use for the purpose of English learning. Participants were 117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They responded to two measures including Lamb & Arisandy’s (2020) online use of English and Lai & Gu’s (2011) self-regulated out-of-class language learning with technology.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use of online English by high school students was low, and L2 self-instruction-orientated activities and entertainment-oriented activities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socially-oriented activities. Students’ use of self-regulatory strategies in English learning with technology was also low. Among the six sub-strategies (goal commitment, metacognitive, affective, social, resource, and culture), the goal commitment strateg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while the social strategy showed the lowest frequency of use. Lastly, the results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online use of English and self-regulatory strategies use in English learning with technology. A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L2 self-instruction-oriented use of English has a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the self-regulated English learning with technology. Pedagog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along with study limitations.

1. 서 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