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된 필사본 『대동여지도』(18첩)를 대상으로 동일한 체제를 갖춘 국립중앙도 서관본(이하 ‘국중본’)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8첩으로 구성된 동양문고본은 제1첩에 「지도표」를 비롯한 지도해설 내용을 담고 17첩에 걸쳐 지도를 수록하여 국중본과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 다. 또한 각 첩의 남북 거리를 동일하게 150리로 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산지와 지명 등의 지리정보 묘사방법이 유사하여 같은 유형의 지도에 속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울릉도, 제주도, 경상도 동래부에 표현된 하천 유로와 섬 묘사 내용에서 나타나는 유의미한 차이는 국중본을 수정 보완하여 동양문고본이 만들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 세기의 다른 지도와 비교한 결과, 국중본은 『청구도』와, 동양문고본은 목판본 『대동여지도』(1861)와 유사성이 높 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이들 두 판본이 『청구도』와 『대동여지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필사본에서 목판본으로 넘어가는 연결고리였음을 보여준다. 즉 19세기 대축척조선지도 발달에서 남북을 29층으로 구성하여 책자식으로 제작한 『청구도』가 보완되어 절첩식의 필사본 『대동여지도』(17층, 국중본)가 만들어졌고, 내용을 보완하여 동일한 형식의 필사본(17층, 동양문고본)이 제작되었다. 이 내용은 지리정보 편집과 함께 남-북 22층 체제로 재구성되어 『동여도』와 (목판본)『대동여지도』(22층)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18 folders, manuscript ed.) in Toyo Bunko(below Toyo ed. ) in terms of stage of development of large-scale map of Joseon-dynasty in the 19th century.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on the another manuscript e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below NL ed. ) which is very similar in terms of forms, such as the folding system, size etc. But these two maps are different in the descrip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details such as river channels and island in the Ulleung and Jeju Island with Dongnae-bu(Busan).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oyo ed. is made with the revision of NL edition.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n NL edition is closely related with 『Cheonggudo』(1834), but the information on Toyo edition is related with 『Daedongyeojido』(1861) on the other hand. This shows that even though the similar format of Toyo and NL edition, these two maps had the role of stepwise stones from 『Cheonggudo』(book-style with 29 folders, maniscript ed.) towards the 『Daedongyeojido』(22 folder, woodblock edition).
1. 머리말
2. 일본 및 동양문고 소장 『대동여지도』 판본
3. 『대동여지도』(245-1)와 국중본(고조 61-1) 체제 비교
4. 사례 지역의 묘사 비교
5. 맺음말 : 요약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