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489.jpg
KCI등재 학술저널

농업교육이 농업인 소득증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gricultural Education on Farm Income: A Case Study of Uganda National Farmers Leadership Center

  • 178

연구목적: 우간다 농업지도자연수원 교육이 농업인 소득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농가소득 수준에 따라 어떠한 교육과목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중요성: 농업분야 국제개발협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는 반 면 여전히 빈곤층은 농촌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으로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을 위해 농업·농촌에 대한 면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가 큰 농업은 개도국이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산업분야로써 경제적으로 중요 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정작 개발도상국 농민들은 농업기술과 같은 정보 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과 기회가 많지 않다. 이에 우리나라의 농업기술 전문가 들의 교육을 통해 개발도상국 농업인의 소득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에 대한 확인으로 농업교육 지원에 대한 효과성 확인과 실시되고 있는 교육과 목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연구방법론: 농업인 소득제고 영향 분석으로 2018년, 2019년 교육생 및 미교육 생을 대상으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및 소득 직접비교를 진행하였고, 교육과 목들에 대한 소득제고 영향 파악을 위해 농가소득수준 및 교육유형별로 대응분 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2018년 농업교육은 저소득 농가의 비율을 감소시켰고 2019년 농업 교육을 받은 농업인의 소득감소율은 미교육 농업인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원 예 분야는 농업생산관련 기술 과목이 농가소득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였으 며, 양계 분야에서는 농가소득 수준에 따라 질병관리, 선진지 견학, 양계사료 과목에서 소득제고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우리나라의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된 우간다 농업지도 자연수원 농업기술 교육 커리큘럼은 수혜대상 농민의 소득증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수준별로 분야별 소득제고 영향을 받 은 교육과목들이 상이하게 나타나 향후 국제협력을 통한 비정규 농업교육 진행 시 참고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ing the impact of the education of ‘Uganda National Farmers’ Leadership Center’ on the income increase of farmers, and what educational programs have a significant effect according to income level of farm households. Originality: Agriculture is an important industrial sector for developing countries to grow, but farmers don’t have many methods and opportunities to obtain information such as agricultural technology. It’s necessar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gricultural education by confirming how the NFLC education has had an effect on income increase of farmers. Methodology: To analyze the impact on income growth,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direct income comparison were conducted for trained and non-trained farm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education curriculum on farm income improvement, response analysis was conducted by income level. Result: 2018 education reduced the proportion of low-income farmers, and 2019 education s income decrease rate is lower than that of non-trained. In the horticultural sector, agricultural production-related technical subject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farm household income, and in the poultry field, the impact of increasing income was high in disease management, field trip, and poultry feed, depending on the level of farm household income. Conclusions and Implication: The educational program produced based on Korean agricultural technology and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ome increase of Ugandan farmers. Since educational programs affected by income enhancement by income level and sector appeared differently, it s necessary to refer to it when conducting non-regular agricultural education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Ⅰ. 서론

Ⅱ.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