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463.jpg
KCI등재 학술저널

『西征日錄』의 사학사적 고찰

A historical review of Seojeongillok

DOI : 10.29186/kjhh.2021.43.97
  • 80

본 연구는 『西征日錄』을 사학사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서정일록』은 이정암 이 쓴 난중일기이다. 이 책에는 1592년 4월 28일부터 同年 10월 7일까지 이정 암과 가족의 전쟁 체험과 의병 창의 과정, 연안성 전투의 顚末이 소상하게 기술 되어 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기 海西 지역 의병 활동과 연안성 전투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이 자료를 인용한 연구 성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왕의 연구에서 『서정일록』에 관한 사학사적 검토는 충분히 이뤄지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이장희가 공개한 草本 『서정일록』과 문고본 『서정일록』을 저 본으로 삼아, 이정암의 문집인 『四留齋集』에 수록된 「行年日記」의 목차와 내 용을 비교・검토하였다. 『서정일록』은 이정암의 피난 여정과 의병 창의의 동기와 과정이 윤색없이 기술되어 있는 반면 「행년일기」는 『서정일록』의 많은 내용 이 修正과 刪削이 이뤄졌다. 즉 「행년일기」는 이정암의 개인적 피난 생활과 관 련된 내용을 대폭 줄이고, 임진왜란의 전황과 조정의 동향에 관한 기술을 중심으로 정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정일록』은 ‘棄官奉母’를 우선시했던 이정암 의 기록이었기 때문에 그대로 간행될 수는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서정일록』을 통해 의병 창의와 연안성의 守禦 과정을 살펴보 았고, 연안성 전투의 기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정리되고 관찬・사찬 사서에 수록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연안성 전투의 기사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선조수정실록』에 수록되었는지를 사학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서정일 록』에 반영되지 않은 연안성 전투 기사가 후대 역사서에 어떻게 기술되었는지 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a historical review of the Seojeongillok. This book is written by Yi Jeong-am and contains his experiences of wa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is book details the evacuation life of Yi Jeongam and Yeonan daecheop(延安大捷). This book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and the trends of the Japanese army in theHaeseo(海西) area.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enough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is book. Based on the original Seojeongillok, I tried to compare it with Haengnyeonilgi. Unlike the original, Haengnyeonilgi has been modified a lot. Although personal records were mainly recorded in the original, the government s trends were considered important during the Haengnyeonilgi. It was difficult to publish Seojeongillok as it was because it was a book that honestly contained Lee Jung- am s personal feelings and evacuation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preparation process and combat aspects of Yeonan daecheop. It also considered how the records of Yeonan daecheop were compiled and included in various books. In particular, I have identified the process in which the details of Yeonan daecheop were included in the Seonjo-sujeongsillok.

1. 머리말

2. 李廷馣의 가계와 생애

3. 『西征日錄』의 자료적 검토

4. 李廷馣의 전쟁 경험과 연안성 전투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