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손 기능, 균형, 일상생활의 비교 및 상관관계
Relationships and Comparison for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제13권 제1호
-
2021.0629 - 42 (14 pages)
-
DOI : 10.29144/KSCTE.2021.13.1.29
- 427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손 기능, 균형, 일상생활의 비교와 상관관계를 알고자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우세손이 오른손인 뇌졸중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한 평가는 대상자들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위하여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우측과좌측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젭슨 기능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버그균형척도를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판 수정바델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인지기능은 나이와 손상측, 손상위치에 따른 유의한차이가 있었다(p<.05). 우측과 좌측의 손 기능은 손상측에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균형은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5). 일상생활의 총점은나이와 발병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상관분석에서 일상생활의 총점은 인지기능, 우측 손 기능, 균형과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일상생활의 하위 항목과 인지기능은 일상생활의 의자차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우측 손 기능은 일상생활의 하위항목인 개인위생, 식사하기, 용변처리, 옷 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좌측 손 기능은 일상생활에서 이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p<.05). 균형은 일상생활의 모든 항목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환경에서 재활치료를 받고있는 뇌졸중 환자들의 치료목표와 계획을 설정하는데 도움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The current study included 50 right-handed patients who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Incheon. The measured evaluations used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cognitive function. The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was used for right- and left-hand functions. The Berg Balance Scale was used to balance the subjects, and the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was used for ADL.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ge, lesion side, and lesion lo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hand function of the right and left sides according to the lesion sid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05). Bal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total ADL score according to age and onset perio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total score of ADL,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 on the right side, and bala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5). All subscales of ADL and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for the ADL wheelchair (p<.05). Hand function on the right s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 hygiene, feeding, toilet, dressing, bowel control, and bladder control in the ADL subscales (p<.05). The hand function of the left s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ransfer of ADL (p<.05). Balance and all subscales of AD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setting treatment goals and plans for stroke patients undergoing clinical rehabilitation.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Ⅵ. 요 약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