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경남 서부지역의 남강 수계와 남해안의 만을 거점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분군 중 같은 양식의 토기를 공유한집단을 소가야 세력으로 인식하고, 영남 각지에서 후기가야의 소국들이 출현하는 5세기 전반 무렵부터 가야가 멸망하는 562년까지의 시간적 범위에서 소가야양식 토기를 편년하고 단계별 토기의 분포정형을 통해 중심고분군의 변천을살펴보고자 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편년은 10기종을 대상으로, 발생순서배열법(Occurrence seriation)에 따른 ‘속성-형식-형식조열(일괄관계)-분기’의 분석 과정을 통해 Ⅰ~Ⅴ단계로 구분하였다. 편년은 400년 이후로 상정되는 일본 열도 초기 스에키 연대와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소가야계 토기의 하한(475년)을 근거로, 이후 TK208~TK10형식까지 스에키와 공반된소가야양식 토기의 연대를 비정하고 영남지역의 주요 고분군의 병행 관계 유물을 검증하여 도출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형식변화와 단계별 분포정형을 통해 출현기-성립기-성행기1-성행기2-쇠퇴·소멸기로 구분하고, 토기양식 분포정형의 변화를 소가야 중심고분군의 변천으로 이해하였다. 5세기 전반 무렵 함안지역의 말이산 고분군축조 집단의 영향으로 형성된 소가야 세력은 5세기 중후반 중심고분군의 축조와 함께 다자간 결합된 비정형적인 토기양식의 분포를 보인다. 6세기 초에는 남강 수계의 내륙 집단은 중촌리 집단과 삼가 집단의 결합으로 재편되며, 남해안의 고성만을 중심으로 송학동 집단이 새로운 중심 세력으로 대두된다. 이후 소가야 세력의 쇠퇴와 점적인 영역의 변동과 축소 과정은 대가야의 남진, 530년을 전후한 신라의 가야 남부 제국의 병합, 562년에 이르러 최종적으로 가야 전역이 복속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Among the many ancient tombs form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sangnam-do and the bay on the south coast, recognized the groups that shared the same type of stoneware as a group of Sogaya, and wan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ancient tomb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stoneware from the first half of the fifth century to 562 when Gaya collapsed in various parts of Yeongnam. The type of stoneware of the Sogaya style was divided into I-V stages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of Property-Form-Formation-Formation under the Occurrence Sequence Act. Based on the lower limit (475) of the Sogaya-style stoneware excavated in the early Japanese archipelago and Pungnaptoseong, which is assumed to be from 400 years later, the date of the Sogaya-style stoneware, which was then found in the TK208 to TK10 types, was irregularly dated and the parallel relationship relics of major ancient tombs in the Yeongnam region, was verified. The distribution of stoneware forms was understood as the trend of the Sogaya group by dividing the variation in the construction groups of the major ancient tombs in the Sogaya region into the emergence period, the formation period, the sex period1, the sexual period, the decline, and the extinction period. The Sogaya group formed around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lisan Ancient Tombs in Haman area shows an unformal distribution of stoneware, which is a multilateral combin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central ancient tombs in the mid- to late 5th century.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inland group of the Namgang River was reorganized into a combination of the Jungchonri group and Samga groups, and a new central force emerged around Goseong Bay on the southern coast. Later, the decline of the Sogaya group and the process of the change and reduction of the viscous area were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merging the Southern and Southern Gaya empires around 530 years ago, and finally the entire Gaya territory in 562.
I. 머리말
II. 소가야양식 토기의 편년
III. 소가야양식 토기의 추이로 본 집단의 변천
IV.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