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출토 동모의 제작기법을 內范 A·B·C型으로 분류하고, 세형a식동모-세형b식동모-중세형동모의 변천과 연동하여 살펴보았다. 이중 내범 B1a→b→c형, Ca→b형의 전개는 중세형동모의 성립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세형동모의 제작기술 계승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련의 과정은 지역적 전개 양상에 자체 발전된 것이다. 내범 A·B·C형의 변천은 한반도 동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며, 제작은 공인집단의 존재(기술의 공유)로 해석된다. 그중 내범 B·C형의 성형은 新기법의 출현으로 파악되는데, 이 일대를 거점으로 형성된 청동기 제작기술의 전파(유통)로 보인다. 때문에 한국 출토 중세형동모는 자체적인 내범 제작기법의 성형에 따라 ‘韓國式’으로 명명되며, 대구-경산-영천-경주 일대에 독자적 성립으로 판단하는 바이다. 이상을 토대로 세형b식동모는 다뉴세문경·간두령·철기·반리문경 등의 공반자료를 통해 기원전 2세기대로, 중세형동모는 성운문경·이체자명대경·오수전 등의 공반자료를 통해 기원전 1세기대로 편년된다. 이를 종합하여 한국의 동모편년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of the bronze spearhead, slender a, b bronze and middle slender c in association with the Korean type bronze spearhead by classifying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Korean type bronze spearhead into core A, B and C type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core B1a→b→c type and core Ca→b type lead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iddle slender bronze spearhead,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technological succession of the slender bronze spearhead. A series of process are seen to be a self-developed aspect in terms of the region. The transition of core type A, B and C was confirmed mainl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roduction was grasped through the existence of a recognized professional group. Most of all, it seems that the establishment of core B·C type shows the emergence of the new technique. This is estimated to reveal the distribution of the bronze manufacturing technology formed in this whole area. Therefore, it is seen that the middle slender bronze spearheads, excavated from Korea named Korean type were created separately with the core production technique around Daegu, Gyeongsan, Yeongcheon, Gyeongju. On the basis of ideals, the chronology of the middle slender spearhead was set: in the 2nd century B.C. through the comparative material of fine-lined geometric bronze mirror(Danyusemun-gyung) and bronze pole-top bell(Gandu-ryeong), Banrimun-gyung and in the 1st century B.C. through the comparative material of early Han mirror Seongwunmungyung, Ichejamyungdae-gyung and ohsujeon coins. Taking these things into consideration, the chronology of Korean type bronze spearhead is presented.
I. 서론
II. 연구사
III. 동모의 내범 제작기법 분류
IV. 한국식동모의 편년
V. 한국식 중세형동모의 성립과 전개
VI.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