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시민교육과 민주주의

Citizenship Education at School and Democracy: A Case Study in Europe

DOI : 10.32625/KJEI.2021.24.177
  • 346

치·사회적 차이를 극복하고 한 국가의 시민으로서 통일된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시민교육을 활용하고 있다. 유럽의 시민교육에서 학교 시민교육은 아직 사회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지 않은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각 국가마다 동일한 목적과 내용, 방식으로 시민교육을 시작하고 심화한다는 데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오래전부터 자리 잡아온 남서유럽 국가와 소련 붕괴 이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한 동유럽은 시민교육 운영방식에서 차이가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42개 유럽 국가 및 지역들의 2016년 학교 시민교육 현황과 운영방식을 분석해 지역별, 민주주의 발전 정도에 따른 시민교육 교과과정의 차이를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고는 유럽집행위원회의 시민교육 관련 보고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국가의 시민교육 단독 의무과목 및 타의무과목 통합과목 편성 기간과 총 교육 기간 내 비중을 분석했다. 또 유럽 국가들의 시민교육 교과과정 차이를 지역별로 재분석하고 2016년 민주주의 지수와의 연관성을 찾고자 했다. 분석 결과, 다수의 국가들이 시민교육을 단독과목보다는 타과목 통합편성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초중고 교육과정 내에서 시민교육을 단독 의무과목과 타의무과목 통합과목으로 운영되는 기간을 살펴보면 전자에 비해 후자가 4.3배 정도 길었다. 또 지역별로 보면 시민교육을 더 긴 기간 동안 단독 의무과목으로 교수하는 동유럽은 평균 민주주의 지수가 가장 낮았으며 가장 장기간 동안 타의무과목 통합과목에 통합해 운영하는 곳은 서유럽과 북유럽 국가들로 민주주의 지수가 가장 높았다. 즉 시민교육을 타과목 통합 방식으로 운영하는 등 시민교육이 간접적으로 운용될수록 민주주의 지수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반면 민주주의 지수가 낮은 국가일수록 정부의 시민교육에 대한 영향력이 더 직접적이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European countries which have the most developed citizenship education(CE) have promoted this system in order to reconcile radical cultural, religious, political and social differences and establish common identity as citizen of a country. It should be noted that CE at school leads children and adolescents to become ideal citizens in a way what a country or a government hopes. However, it can not be denied that there are different CE systems between the Southwestern Europe with advanced democratic regime and Eastern Europe which recently experienced political changes. This paper aims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CE in 42 European countries and to see if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ir CE system and democracy development. Are analyzed periods of CE curricula as compulsory separate subject and subject integrated into other compulsory subjects, using data of a report about national curricula for primary and general secondary education(ISCED 1-3) of 2016/2017 of 42 countries, published by Education, Audiovisual and Culture Executive Agency-a branch agency of the European Commission. Proportion of the period of CE curriculum in the whole period of ISCED 1-3, categorization of 42 countries by region, and their democracy index are studied as well. First finding is that many countries prefer to run CE curriculum as subject integrated into other compulsory subjects instead of CE curriculum as compulsory separate subject. Period of CE curriculum implemented as subject integrated into other compulsory subjects is about 4.3 times longer than that of subject integrated into other compulsory subjects. Second finding is that Eastern European countries which implement during the longest period the CE as compulsory separate subject have the lowest democracy index whileas northwestern European ones which implement during the longest period the CE as subject integrated into other compulsory ones have the highest democracy index.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E is indirectly taught in advanced democratic countries where their governments do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CE curriculum.

Ⅰ. 서론

Ⅱ. 문제의식 및 선행연구

Ⅲ. 유럽 국가들의 시민교육

Ⅳ. 민주주의와 시민교육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