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류 문화콘텐츠 K-뮤지컬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이 한국의 국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설정한 연구문제는 총 4가지로서 다음과 같다. 첫째, K-뮤지컬 배우의 속성은 국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K-뮤지컬의 유희성은 국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K-뮤지컬 콘텐츠의 가치는 국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넷째, 일본인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신념은 국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었다. 연구의 방법은 한국에서 K-뮤지컬을 최소 1회이상 관람한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 100명이 참가하였으며 이들 모두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K-뮤지컬 배우의 속성은 국가 태도의 변량에 대해 53.7%를 설명하였고, 둘째, 뮤지컬 콘텐츠의가치는 한국에 대한 국가 태도의 변량에 대해 62.7%를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한국에 대한 문화 이미지는 국가에 대한 태도의 변량을 65.0%를 설명하였다. 일본인들의 한국에 대한 국가태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요인을 요약하면 한국에 대한 문화 이미지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고, 다음은 K-뮤지컬콘텐츠의 가치였다. 배우의 매력성은 세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유희성은 유의미한영향력이 없었다. 이를 통해 일본인들에게 있어서 K-뮤지컬이 한국에 대한 국가태도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추론할 수 있는 탐색적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해 K-뮤지컬이 이를 관람한 일본인들에게 한국의 국가태도에 대하여 가지는 영향요인으로서 충분히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향후 K-뮤지컬 콘텐츠 가치 및 출연 배우들의 유희성 등의 증진을 통해 일본인들이 한국에 대하여 가지는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Japanese perception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 K-musical on Korean national brands. There were a total of four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by this study. First, the attributes of K-musical actors influenced national attitudes, secondly, the entertainment factor of K-musicals influenced national attitudes, thirdly, the value of K-musical content influenced national attitudes, and fourthly, the image and belief of Japanese people in Korea influenced national attitudes. The method of the study included Japanese people who watched K-Music at least once in Korea. A total of 100 people participated, and all of their responses were included for the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ttributes of K-musical actors accounted for 53.7% of the country’s attitudes, and secondly, the value of musical content accounted for 62.7% of the country’s attitudes toward Korea. Third, the cultural image of Korea accounted for 65.0% of the random attitude toward the country. Summarizing the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apanese national attitudes toward Korea, the cultural image of Korea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llowed by the value of K-musical content. The actor s attractiveness was identified as the third-largest influence. However, playfulnes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This makes it meaningful for the Japanese as an exploratory study that can infer how K-musical influences Japanese peoples attitude toward the image of Korea. Through this study, it shows that K-Musical is fully influencing the Japanese people s attitude toward the image of Korea, and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image of Japanese people s image toward Korea through the promotion of K-Musical content value and entertainment of cast actor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