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콘텐츠의 진화는 관객에게 공유를 통해 대중적 공감을 목표로 발전되며, 이는 예술적 가치에 대한 동등한분배와 호응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연예술에 대한 대중의 접근도를 높이기 위해 각 장르의 특징을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체험과 참여의 콘텐츠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뷰지컬은 영화의 촬영기법을 뮤지컬의 현실적 생동감과 연계하여 무대공연의 몰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사실적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그 의미가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작품의 대본을 상황극 형식으로 녹음한 후 무대에서 동작을 통해 이미지로 표현하는 그림자 극장은 우리의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주제로 제작하여 체험적 활동으로 이어지는참여형 콘텐츠로의 발전을 기대한다. 공연의 표면에 나타난 목적은 관객에게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지만, 궁극적인목표는 무대를 통해 시공간의 변화를 직간접적인 방법으로 경험하여 공유와 공감의 조건을 형성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를 위해 창조적 콘텐츠의 생성을 위한 조건과 필요성의 인지 및 유기적 활용방안의 연구를 통해 대중적 호감과 공감대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작품의 특성을 고려한 장르 융합을 통한 창조적 공연콘텐츠 개발의 원동력은 창의적 사고와 제작 기술의 발달을 통해 완성될 것이다.
The evolution of performance contents is developed with the goal of public sympathy through sharing with the audience, which means equal distribution and response to artistic valu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new forms of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content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to increase public access to performing arts. First, the viewsical is meaningful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realistic expression by linking the cinematography technique with the realistic liveliness of musicals and increasing the immersion of stage performances. Next, the shadow theater, which records the script of the work in the form of a situational drama and expresses it as an image through movement on stage, expects to develop into participatory contents that lead to experiential activities by producing various social problems that can occur in our daily lives. The purpose of the performance on the surface is to convey the message to the audience, but the ultimate goal is to form the conditions of sharing and empathy by experiencing the changes in time and space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 stage.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raise popular favor and consensus through the study of the recognition of the conditions and necessity for the creation of creative contents and the organic utilization plan. Therefore, the driving force of creative performance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genre fus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will be comple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 and production technology.
1. 서론
2. 뷰지컬(영화와 뮤지컬)
3. 그림자 극장(라디오와 마임)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