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575.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적 사고 그리고 역사 역량

Historical Thinking and Historical Competencies: What to Pursue and Why?

  • 69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역사과 역량이 등장한 이후 역사과의 특성을 충실히 반영한 교과 역량 개발에 대한 요구는 잇달아 전개되었다. 새로 개발된 역사과 역량과 기존의 역사적 사고와의 차이점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본고에서는 역사과 역량 개발과 적용에 시사점을 얻고자 7개국 9편의 역사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사적 사고와 역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영국(잉글랜드), 영국(웨일스), 스위스(IB 디플로마 과정), 미국(미시간 주), 네덜란드(HAVO/VWO 과정), 싱가포르, 호주(뉴사우스웨일스 주), 캐나다(브리티시 콜럼비아 주), 독일(헤센 주)의 역사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과정 담론 속에서도 역사 교육과정은 역사학에 고유한 영역인 역사적 사고 개념을 강조하고 있었다. 역사적 사고 개념의 명칭은 교육과정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역사적 사고 개념을 교과 역량이라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명칭상의 다양성에 비해 내용에 있어서는 상당한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화하는 사회, 나아가 미래 사회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함양해야 한다는 전제 속에서 나타난 역사교육의 나아갈 방향은 학생의 삶·현재·미래와 연계되는 역사적 사고 개념의 교수·학습이었다. 물론 이전에 비해 교육과정에서 범교과적 기능이나 융합적 접근이 강조되고 있었으나 교과 내용 및 교과 역량 교육을 통해 일반적인 역량을 향상한다는 접근을 분명히 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역사 교육과정에서는 개념 또는 역량으로서의 역사적 사고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본고의 분석 결과는 역사 교과 특수 역량 개발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troduced a new construct, historical competencies, and this new construct brought criticisms from teachers and scholars. One of the most widely discussed criticisms was that it is hard to differentiate historical competencies from historical thinking. This study analyzed nine standards documents from seven countries with a purpose to shed light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ar competencies. The standards documents analyzed were: United Kingdom(England and Wales), IB diploma program, United States(Michigan), Netherlands(HAVO/VWO), Singapore, Australia(New South Wales), Canada(British Columbia), and Germany(Hessen).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history standards emphasized historical thinking concepts and though not identical, the categories for historical thinking concepts shared similarities. Even in the country that empathized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history curriculum documents highlighted these historical thinking concepts and the focus on historical thinking concepts related to students’ life, present, and future was clear. Historical thinking as concepts and its connection to students’ present and future lives provide concret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competencies.

Ⅰ. 서언

Ⅱ. 교육과정 개혁 움직임과 역사적 사고 그리고 역량

Ⅲ. 연구 방법: 분석 대상 교육과정과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