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비형식 학습으로의 대학 온라인 교육콘텐츠 활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그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콘텐츠 구현과 효율적 온라인 콘텐츠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교육콘텐츠 학습경험에 대한 주제어는‘다양함, 활용, 검색, 흥미, 접근, 지식, 분야’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이 온라인 교육콘텐츠 학습을 통해 흥미 있는 분야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경험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학생들은 온라인 교육콘텐츠 학습을 자기계발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쌓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제공되는 콘텐츠 큐레이션을 신뢰하고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들 사이의 연결성과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학습자의 질적 경험과 의미를 과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특히 비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교육콘텐츠 학습경험에 대한 양적, 질적 자료가 부족한 현실에서 학습자 중심 콘텐츠의 개발과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비형식 학습으로의 대학 온라인 교육콘텐츠 활용 경험에 대한 유용성을 활용하고 한계점은 보완하여 학습자 맞춤형 온라인 교육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structurally grasp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using university online learning educational contents as informal learning, and examine their meanings,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learner-centered contents and efficient online educational contents manag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ssociated online learning experiences with words such as diversity, applicability, search, interest, accessibility, knowledge, and various fields. Such findings demonstrate that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and utilize their knowledge fields through online learning. They also perceived such learning methods to be useful for self-development, and trusting the content curation provided, thinking that it was helpful.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is study, therefore, identifies connectivity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key words and quantitatively visualizes learners qualitative experiences through them in a scientific manner. In particular, the study is meaningful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online learner-centered contents. In the future, it will be more important to leverage such informal online learning observed in the study and to continuously improve on shortcomings to provide a learning experience that is tailored each and every individual learne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