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다자 차원의 감염병 지원과 시사점

  • 98
커버이미지 없음

▶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G20, 세계은행, CEPI, ACT-A 등 주요 글로벌 협의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 -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개별 국가를 넘어선 다자 차원의 국제협력이 필요함. ▶ 국제사회는 개도국의 보건의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10년간 연평균 214억 달러 규모의 ODA를 보건분야에 지원해왔으며, 최근 다자기구를 통한 ODA 지원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임. - 2002년 개도국의 HIV/AIDS, 결핵, 말라리아 대응 관련 전염병 및 보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글로벌펀드를 중심으로 다자기구의 ODA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 국제 보건위기 발생 시 G20 국가들은 공동의 노력을 촉구하고 다자기구 개혁 및 활동 지원을 선도해왔으나, 급변하는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는 데 한계를 드러냄. -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 발병 후 국제 보건협력이 증진되었음에도 2019년 발생한 코로나19에 대해서는 체계적 대응이 부족했던바, 신속하고 광범위한 백신 접종을 위해 다자기구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과 함께 기금 지원 확대가 필요함. ▶ 저소득국의 공평한 백신 접근을 지원하는 COVAX AMC는 국가간의 양자 계약보다 더 효율적으로 백신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요함. - COVAX는 세계은행 등 다자협력 개발은행간의 연계를 통해 기존에 구축된 인적 자원, 시스템 등을 바탕으로 보다 검증된 지역별 업무를 추진함과 동시에 백신 공급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게 함. ▶ 우리나라는 COVAX AMC 지원 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국제사회의 보건안보에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할 필요가 있음. - 우리나라가 이행하기로 한 AMC 기여금은 약 1,000만 달러(전체 기여금의 0.15%)에 불과한 수준인바,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에 맞는 보건협력에 이바지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선도적인 기여가 필요함.

1. 배경

2. 다자기구의 감염병 지원 현황

3. 감염병 대응 글로벌 협의체 논의

4. 시사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