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636.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이탈여성에 관한 질적연구 동향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s o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 Focused on domestic journals

  • 294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여성에 관한 질적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RISS4U, KISS, DBpia)에서 지금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질적연구 34편을 분석하였다. 총 34편에 대해 논문 발행연도, 학문분야 및 학술지명,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들을 분석하여 질적연구 동향을 파악하였고, Hoyt&Bhati(2007)가 주장한 네 가지 차원에 따라 질적연구 수행과정을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여성에 관한 질적연구 동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5년을 시작으로 꾸준히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는 사회복지분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이 사용된 질적 연구방법은 현상학이었으며 2011년 이후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연구가 게재되었다. 셋째, 사회적응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가족・관계, 정신건강과 심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질적연구 수행과정을 검토 한 결과, 연구자의 초점과 연구결과 제시 및 보고는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감수자를 통한 확인은 대다수의 연구에서 제외되어 전반적인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여성 관련한 질적연구 주제의 확대와 각 학문 분야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o this end, 34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were analyzed so far in databases (RISS4U, KISS, DBpia)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or a total of 34 papers, qualitative research trend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sis publication year, academic field and journal nam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s, and the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according to the four dimensions of Hoyt&Bhati (2007).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 analysis o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teadily researched since 2005, and the mos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econd, the most widely used research method was phenomenology, and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1. Third, the most research on social adaptation was conducted, followed by family/ relationships, mental health and psychology. Four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er s focus and the reporting and quotations of research results are frequently performed, but it is analyz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firmation through checked by independent auditors and minimization of the researcher s preconceptions are relatively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topics related to North Korean refugee women, implications for each academic field, and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