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793.jpg
KCI등재 학술저널

錦江流域屯山式住居址再檢討

Review on Dunsan-Style Dwelling Pits Located in the Gum River Basin

  • 11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전기의 금강유역권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둔산식주거지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둔산식주거지는 금강유역에서 방형·장방형·세장방형의 평면형태를 기본으로 내부에 위석식노지와 초석 등이 설치된 주거지를 통칭한다. 가락동유형의 표지적 요소로 이해되는 이러한 둔산식주거지는 1980년대 이후 금강유역의각지에서 산발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최근 조사예가 증가하는추세이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여러 선행연구가 이루어져왔으나 둔산식주거지 자체에 대한 접근보다 가락동유형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서 다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또한 기존의연구결과와 배치되는 양상이 최근 보고된 신자료에서 다수 확인됨에따라 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주거지의 평면형태와 규모, 내부시설 등에 대해 일차적인 재검토를 실시하여 형식분류를 실시하고, 각 형식의 상대적인 시간적 위치와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방형-장방형-세장방형 또는 둔산식-용암Ⅰ식-용암Ⅱ식의 흐름과 같이 도식적인 변화보다 더 다양한전개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reconsidering the Dunsan-Style Early Bronze Age dwelling pits (house structures) concentrated in the Gum river basin. Dunsan-Style dwelling pits are characterized by the layouts of square, rectangular, and elongated shapes with upstanding stone hearths and stone foundations. A Dunsan-Style dwelling pit, the most representative trait of the Garak-dong type, has been spontaneously investigated since 1980’s, and the number of its excavation case has been recently increased. Despite few previous research on Dunsan-Style dwelling pits with a excavated dataset, it has been regarded as one compositional trait of Garakdong type, rather than an independant research subject. In addition, new contextural evidence, which opposes to its previously recognized characteristics, calls for a review on the Dunsan-Style dwelling pits. Thus typological analysis based on the layouts of the dwelling pits, size and internal space was carried out, and then establishing chronosequence of each morphological type and recognizing its temporal development is attempted. It turns out that more dynamic developmental trajectories than the previously proposed transition schemes of square-rectangular-elongated shape or Dunsan-Yongam Ⅰ-Yongam Ⅱ, are noticed.

Ⅰ. 머리말

Ⅱ. 주거의 형식과 구조

Ⅲ. 상대편년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