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796.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해주지역 발해의 지방지배 방식 연구

A Study of the Local Governance System on the Balhae

  • 11

본 연구는 연해주지역의 발해 성터 및 고분, 생활 유적에서 확인된 고고학 자료를 통해 발해의 지방지배 방식을 검토해 본 것으로, 이는 도성이나 5경 소재지와 같은 발해의 중심부가 아닌 외곽의 자료가 당시의 지방지배 방식을 훨씬 더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검토 결과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하였다. 첫째, 발해는 평지성을 중심으로 지방지배를 시행하였다. 실제로 말갈계 문화가 중심인 지방의 취락, 고분과는 대조적으로 성곽 유적에서는 중앙에 가까운 고구려계 문화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는 점은 이를 뒷받침한다. 특히 연해주지역의 크라스키노 성, 콕샤로프카-1 성, 고르바트카 성과 같이 일정 규모 이상의 평지성에는 지방 통치를 위한 중요한 행정 치소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 유적은 고구려계 발해 토기의 비중이 매우 높고, 발해 삼채나 중국제 자기 등을 비롯한 일정 수준 이상의 유물이 출토되었을 뿐만 아니라, 건물지를 비롯한 유구의 규모 등이 다른 유적에 비해 월등하다. 특히 기와 건물지가 발견된 크라스키노 성은 다른 성에 비해 등급이 높은 행정 관청이 소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발해는 고구려 유민과 말갈 집단으로 구성된 바, 문화의 내용 면에서도 고구려계와 말갈계로 구분되어지는데, 이러한 이원적 특징이 지방지배 방식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방의 모습을 추론해볼 수 있는 연해주 일대의 발해 취락이나 고분군에서는 고구려계 토기나 석실묘와 같은 고구려 문화의 영향이 일부 확인되지만, 그 중심은 말갈계 토기와 토광묘와 같은 토착계 말갈 문화에 있었다. 실제로 체르냐티노-5 발해 고분군에서는 석실묘보다 높은 등급의 부장품이 출토되는 토광묘들이 확인되고 있어, 당시 발해의 지방 촌락이 중앙의 직접적인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연해주 일대에서 발해 유적이 가장 밀집된 곳은 라즈돌나야강 유역으로, 다른 지역과는 달리 기와가 올려진 불교 건축물이 4개소나 분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해주 남부 지역이 발해 도성인 상경용천부와 수분하-라즈돌나야강을 따라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cal governance system of Balhae(Bohai) around the Russian Primorye region. To review the data, I divided the archaeological records into castle, tombs and settlements by type.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judgment to review the data on local area of the Balhae, not on center, can show much more clearly the local governance system. After reviewing the records it could check the contents as shown below. The first was performed in the local governance of Balhae, which was ruled by Bu(府)-Ju(州)-Hyun(縣) system, based on the castle which was built on plain ground. It is supported in that culture inherited Koguryo is based primarily been confirmed in the castle. Especially Kraskino, Koksharovka-1, and Gorvatka castle, which of the perimeter of the walls are over 1.2km, are supposed an important administrative nitrogen for local governance of Primorye region. The second is that Balhae had partially adopted indirect ruling system or a dualistic local governance system because of dual rac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Koguryo and Mohe. It is supported in that culture inherited Mohe, which is indigenous culture in the Primorsky region, is based primarily been confirmed in the settlements and tombs. Actually, it is demonstrated by Chernyatino-5 burials that grave goods of higher grade were excavated from pit graves of indigenous Mohe than stone chamber tombs under the influence of Koguryo. The third is that where the Balhae remains are the most dense in the Primorye region is the Razdolnaya river. Especially, the existence of the four Buddhist buildings is a characteristic unlike other areas. Maybe, the capital city of Balhae seems to have been closely connected to the southern part of Primorye region along Razdolnaya river. But the castle might be judged as administrative center have not been confirmed in their place.

Ⅰ. 머리말

Ⅱ. 연해주 일대 고고학 자료의 검토

Ⅲ. 문헌 자료의 검토

Ⅳ. 연해주지역 발해의 지방지배 방식 검토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