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796.jpg
KCI등재 학술저널

美湖川流域의 馬韓에서 百濟로의 轉換과 在地勢力의 存在樣態

A Study on the Conversion into Baekje from Mahan and Existence Aspects of Local Power in the Miho River Basin

  • 8

미호천유역의 원삼국기 마한 사회 내에는 4세기 중~후엽에 묘제의 변화, 특정 토기문양요소의 등장, 성곽의 축조 등 일정한 변화가 확인된다. 이러한 고고자료의 변화 양상은 미호천유역의 마한 정치세력이 4세기 중엽이후 백제의 지배체제 속에 편입되어간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호천유역의 마한 재지세력이 백제 중앙의 지배체제 속에 편입되 면서 기존의 ‘國’을 구성한 읍락은 백제의 지방통치체제인 城-村 체제로 편제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백제의 지배체제 속에 편입된 이후 미호천유역 재지세력의 존재양태는 백제의 지방지배방식과 관련하여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백제의 지배체제 속에 편입된 직후인 4세기 후반에는 백제의 지방지배 정도가 미약했으며, 기존 재지 수장층을 중심으로 한 읍락사회의 질서는 어느 정도 유지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5세기 전반 경 미호천유역의 지방사회 내에는 석곽묘의 등장, 백제 중앙의 사여품으로 판단되는 장식대도ㆍ중국자기ㆍ금제 耳飾 등의 부장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화양상은 백제의 지방 지배력이 진전됨에 따라 마한의 기존 사회질서는 완전히 해체되고 미호천유역의 재지세력도 백제 중앙의 지배체제 속에 들어간 것으로 생각된다. 5세기 중엽 이후에는 미호천유역의 각 지역에 일정하게 석실분이 등장하고 있으며, 최고 위계의 분묘에 着裝形 威勢品 대신 마구와 무기, 외래계 유물이 부장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백제의 지방지배 정도가 한층 진전되고, 지배방식도 일원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were certain changes including the altered types of tombs, emergence of certain pottery pattern elements, and construction of fortress within the Mahan society along the Miho River basin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middle and late fourth century. Those changing patterns of archeological data seem to show that the political power of Mahan along the Mihocheon basin was incorporated into the ruling system of Baekje after the middle fourth century. As the political power of Mahan along the Miho River basin was incorporated into the ruling system of central Baekje government, the old Eup-Rak(邑落) that made up state were reorganized into the Seong(城)-Chon(村) system, which was part of the local governance system in Baekje. The existence aspects of local group in the Miho River basin incorporated into the ruling system of Baekje can be examined in three periods in relation to the local governance style of Baekje. In the late fourth century right after its incorporation into the ruling system of Baekje, the local governance of Baekje was weak with the order of old Eup-Rak based society around the local chiefs maintained to certain degree. In the former half of the fifth century, the local communities of Miho River basin witnessed the appearance of stone-lined tombs and the burial of decorated swords, Chinese ceramics, and gold and copper earrings, which seem to be the imperial gifts from the central Baekje government. Those changing patterns reflect that the old social order of Mahan was completely broken down with the local power of Miho-River basin incorporated into the ruling system of central Baekje as the local forces of Baekje developed. Since the middle fifth century, stone chamber tombs appeared in certain numbers around the areas of Miho River basin with the harness, weapons, and foreign artifacts buried in the tombs of highest-rank figures instead of elite grave goods they would wear.

Ⅰ. 머리말

Ⅱ. 미호천유역 마한 재지세력의 존재양태

Ⅲ. 미호천유역 백제 한성기 고고자료 검토

Ⅳ. 백제의 지배방식과 미호천유역 재지세력의 존재양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