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796.jpg
KCI등재 학술저널

금강 유역 구석기 유적의 형성 과정과 고인류 점거 과정 시론

A Speculation on the Formation Process of Palaeolithic Sites and Hominid Occupation in the Geum River Area, Korea

  • 51

남한의 중앙을 관통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금강 유역은 지금까지 다수의 지점에서 구석기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개별 유적의 성격을 고찰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금강이라는 하계망을 중심으로 구석기 유적이 어떻게 입지하고 어떻게 형성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광역적 접근이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고는 이러한 배경 하에, 금강 유역 제4기 퇴적층의 형성 과정에 대해 거시적인 접근을 통해 이 지역 고인류의 점거 양상에 대한 초보적 고찰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기 위해 구석기 유적의 분포 범위를 유역별로 구분하고 각 유적의 형성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금강 유역의 구석기는 1)전라북도의 산간지역, 2)충청도 일대의 중•하류 지역, 3)충남•전북 접경 지역의 충적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각 유역의 구석기 유적 퇴적들은 금강 본류 및 지류의 유역 확보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질학적 과정을 반영하고, 퇴적층 내에서 발견되는 석기는 후기 홍적세 시기에 해당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전라북도 산간지역의 유적들은 고인류가 금강 하계망을 점거해 나가면서 동물 자원을 집약적으로 이용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고지성 점거지로 볼 수 있다. 금강 유역의 구석기 시대 고인류는 대전 일대의 남한강과 미호천이 마주보는 지역을 기점으로, 금강의 하류역과 상류역을 두 갈래로 점거해 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현재까지 축적된 절대연대 자료와 석기군의 변천상을 볼 때 후기 홍적세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MIS 2 시기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The area around the Geum River (the GRA hereafter), originating from central South Korea and flowing into the Yellow Sea, have yielded many palaeolithic localities until now. In spite of numerous studies on individual sites and lithic assemblages, their general formation processes are yet to be understood in a larger scale concentrating on the terrain and landscape of the Geum River channels. This article attempts to observe the principal process of hominid occupation during the Pleistocene era on a macroscopic scale. The GRA is characterized by uniquely distinguished terrains from upstream, midstream to downstream area respectively and this can be one of major factors responsible for the different geomorphological formation processes of palaeolithic sites across this area. The sub-area of the GRA can be suggested: 1) mountainous territory of northern Jeolla province, 2) mid-and downstream territory of Chungcheong province; and 3) floodplain territory at the border betwee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 Each territory assumes unique depositional environment reflecting the influence of different terrains and river channel energies, of both main Geum River and tributary channels; lithic artifacts discovered in situ are generally dated Upper Pleistocene(mostly from MIS 3 to 2). In particular, lithic assemblages from the mountainous territory of the upper stream are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hominid’s highland occupation for the purpose of intensive animal exploitation. Given the available chronometric dates and lithic assemblage characteristics, one possible is that the older hominid group primarily migrated and entered the GRA from the area between the Miho and Southern Han River in the north and continued to occupy along the Geum River channel in two stages: 1) earlier to the west, toward the downstream area and 2) later to the east upward the higher upstream area. This process might have persisted during the later Upper Pleistocene and continued to the MIS 2.

Ⅰ. 서론

Ⅱ. 금강 유역의 제4기 지질환경

Ⅲ. 금강 유역의 구석기 유적

Ⅳ. 금강 유역 구석기 유적의 특징과 고인류의 점거 과정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