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797.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 중기 청자제작의 확산과정과 그 배경

The Spreading Process and Background of Celadon Production in Mid Goryo Period

  • 22

본 연구는 고려시대 중기에 들어와 청자 생산지역이 급증하면서 전국의 지방으로 窯場이 확산된 과정과 그 배경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2세기 전반 경이 되면 청자 제작지는 전남 해안가 일원과 경기도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생산지에서 점차 전국성을 띠게 된다. 이때 가장 눈에 띄는 기술적 특징으로는 철화청자가 활발히 제작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철화기법의 활용과 철화청자의 소비양상은 13세기 초반 경까지 고려 중기의 청자생산이 1차로 확산되는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 둘째, 12세기 후반에는 한반도 전역에 걸쳐 청자 생산지가 급증하고 음각기법과 압출양각기법에 의한 제작방식이 보편화되는 2차 확산의 양상을 띤다. 이러한 상황은 13세기 중반까지 지속되었으나 이후 급격하게 생산지들이 줄어드는 현상을 보인다. 셋째, 12세기 전반 경에 청자생산지가 확대된 이유는 광범위하게 청자소비가 늘어난 점과 所체제의 와해 이후 民窯的 성격을 띠는 가마가 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명종 2년(1172)에는 백성의 流亡을 억제하고 각종 供物을 원활하게 수취하기 위해 지방관인 監務가 많은 지역에 파견되었으며 이즈음에 청자생산은 더욱 급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무인집권기의 가혹한 수탈과 대몽항쟁기의 민심 이반은 확대되어 가던 청자생산을 급격하게 축소시킨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궁극적으로 청자의 쇠퇴를 불러온 단초가 되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preading process and background of Celadon production in Mid Goryo Period to the various areas of the whole country. Sum up, as these : Firstly, at the first half of 12th Century, Celadon Kilns were spreading to various areas of the whole country from the restricted areas of some coastal areas of Chonnam and Kyunggi provinces. Mechanical characteristics at these times were vigorous production of Celadon in Undergrazed Iron Brown. Iron powder as a pigment was used as convenient measure, because iron powder was the material which can easily get. The Using of Undergraze Iron Painting technique and consumption of Celadon in Undergrazed Iron Brown shows the proof of spreading of celadon production of Mid Goryo Period in the early 13th century. Secondly, there were some changes of mechanical surrounding of production in the secon half of 12th century. Since at that times, there were rapid increase of producing districts and generalization of making methods by incised decoration and press mould technique. This situation was a phenomenon of second spreading period about celadon making technique in Mid Goryo Period. Whereas production areas were disappeared after the second half of 13th century. Thirdly, we can see the most causes of spreading of production of celadon, which were changes of life surroundings and spreading of consuming population. Above all, we can reason the background as dispatch of local government employee(Gammu 監務). The dispatches of Gammu at 1106(1st year of Yejong 睿宗) and 1172(second year of Myeongjong 明宗) were understanded as stability of collecting taxes and receiving the offerings. With these dispatches, we can see the rapid increase of productions of celadon. But these increasing phase was decreased after the point of time in the mid 13th century. The motive of this decreasing was seceding of the mind of peoples, decreasing of productions of celadon by harsh plundering of Gangwha-do Government after 1253(40th year of Gojong 高宗).

Ⅰ. 머리말

Ⅱ. 편년 기초자료의 종류와 분석

Ⅲ. 고려 중기 청자제작의 확산과정

Ⅳ. 고려 중기 청자제작의 배경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