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798.jpg
KCI등재 학술저널

西浦港2期土器再檢討와 東北亞繩線文土器

Re-examination of Seopohang PhaseⅡPottery and Cord-marked Pottery in Northeast Asia

  • 11

본고에서는 한반도 동북지역 신석기 편년에서 기준이 되고 있는 서포항 유적 중 논란이 있는 서포항 2기 토기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기존의 편년 연구와 2000년대 이후의 러시아 측 조사 자료에 대한 비교 검토 결과, 서포항 2기는 승선문을 중요한 특징으로 하는 단계로 설정할 수 있었다. 이 단계에는 승선문과 유사한 문양 배치를 보이는 침선문 토기도 공반한다. 서포항 2기의 편년적 위치는 주변 지역의 양상을 볼 때 보이스만 문화의 마지막 단계 이후, 서포항 3기 이전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한반도 전체 편년 상 전기 후반에서 중기 초와 병행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서포항 2기 토기에 특징적인 승선문 토기는 중국 동북지역의 진흥, 신개류 유적 등 보이스만, 루드나야 문화 단계부터 존재하였으며, 보이스만 5단계와 병행하는 아포력 유적의 단계를 거쳐 서포항 2기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서포항 2기 승선문 토기의 계통은 중국 흑룡강성 삼강 평원 일대로 볼 수 있다. 중국 동북 지역에서 러시아 연해주 남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는 신석기 전 기간을 통해 물질 문화상에서 광역적 공통성이 확인된다. 이른 단계의 압날, 융기 등 시문 방식에서 다단 시문이라는 문양 배치, 초기 농경 및 관련 도구의 확산 등에서 이러한 양상은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승선문 토기 역시 이러한 광역적 공통성 속의 국지적 개성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서포항 2기는 연해주 남부 및 두만강 중하류역에서 전기 후반 및 중기 초라는 특정 시기에 전 단계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승선문 토기를 중심으로 한 국지적 개성이 발현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re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y of pottery in the second phase of Seopohang site in the northeastern Korea and the related sites which are recently excavated in the northeastern China and southern Primorye of Russia. Based on the re-analysis, Seopohang phaseⅡ can be characterized as the distinctive cord-marked pottery (繩線文土器)and related incised pottery. Chronologically, Seopohang phaseⅡ is located between the final phase of Boisman Culture and phaseⅢ of Seopohang, and parallels with later-Early phase to early- Middle phase in Neolithic chronology which covers other regions in Korean peninsula. Tradition of Cord-marked pottery can be traced to the sites of Boisman and Rudnaya culture in the northeastern China such as Zhenxing(振興), Xinkairyu(新開流), etc. and through the Yabuli(亞布力) phase, which parallels to the final phase of Boisman culture, this tradition continued to Seopohang phaseⅡ. That is, the tradition of Cord-marked pottery in Seopohang phaseⅡoriginated from the southern Heirongjiang province(黑龍江省) of China. It is observed that the inter-regional similarities of archaeological material culture from the northeastern China to Russian Primorye throughout the entire Neolithic period such as ceramic ornament techniques and layout of pottery decoration, diffusion of incipient cultivation and related stone tools, etc. Tradition of cord-marked pottery in the research area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Then, Seopohang phaseⅡ pottery can be estimated by the appearance of local characteristics- prevalence of the cord-marked pottery- in this certain time span and space within the inter-regional network of Northeatern Asia.

Ⅰ. 머리말

Ⅱ. 편년 연구의 경과

Ⅲ. 서포항 2기 토기의 편년적 위치와 계통 문제

Ⅳ. 승선문 토기, 그리고 동북아 신석기 문화의 광역적 공통성과 국지적 개성

Ⅴ. 맺음말

로딩중